“아베노믹스 실현땐 일본 경제 붕괴”
입력 2012-12-25 19:10
일본 총리에 취임하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자민당 총재 주장대로 물가 안정을 포기하고 경기부양에 ‘올인’하면 일본 경제가 붕괴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일본이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막대한 돈을 풀 경우 정부 부채를 중심으로 이자 부담은 급증한다. 일본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 부채비율은 현재도 205.3%로 상당히 높다.
아이엠투자증권 임노중 투자전략팀장은 “물가가 오르면 금리 상승이 불가피하다”며 “현재 0.7∼0.8% 수준인 만기 10년 일본 국채의 금리가 2% 가까이 오르면 일본 경제는 도저히 버틸 수가 없다”고 말했다.
아베 총재는 현재 1%인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2%로 높이도록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을 압박하고 있다. 일본은행이 거부하면 법을 개정해서라도 밀어붙이겠다는 입장이다. 금융투자업계는 이 경우 이자 부담이 배 이상 늘 것으로 본다.
금리가 뛰면 일본 금융회사들은 역마진 충격으로 연쇄 도산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일본은 정부가 발행하는 국채 대부분을 금융회사들이 떠안고 있다. 이 덕에 높은 부채비율에도 불구하고 일본 경제가 버틸 수 있었다. 하지만 시중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은 급락한다. 일본 국채를 보유하고 있는 금융회사는 앉아서 막대한 손실을 보게 된다.
한 증권사 고위관계자는 “아베노믹스가 정말 시행된다면 금융회사 입장에선 버틸 수가 없다”며 “도산을 피할 수 없다고 판단해 일찌감치 회삿돈을 해외로 빼돌리는 현상도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물가상승률이 배로 뛰려면 무한대로 양적완화를 해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실행에 옮기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