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인수위 구상] 정책통이냐 통합형이냐… 朴, 인수위원장 인선 고심 거듭

입력 2012-12-24 21:48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인선을 놓고 막판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핵심인 인수위원장 성격에 대해 ‘정책통’이 발탁될 것이라는 견해와 ‘통합형’이 임명될 것이라는 관측이 여전히 엇갈린다.

박 당선인은 24일 1시간 정도의 봉사활동 일정만 소화한 뒤 곧바로 서울 삼성동 자택으로 귀가해 인수위 인선작업에 몰두했다. 특히 이목이 집중된 인수위원장 인선을 놓고 세심하게 따져가며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선 뒤 첫 인선이라는 중요성과 함께 어떤 성향의 인사를 위원장에 임명하는지에 따라 인수위 성격과 차기 내각과의 관계 설정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박 당선인 핵심 측근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당선인은 인수위를 대통령직인수위법이 규정한 그 기능대로 이해하고 있다”며 “이번 인사를 통해 정치적 비전을 내놓거나 커다란 권한을 가진 참신한 얼굴을 등용할 것이란 전망은 모두 억측”이라고 말했다. 인수위는 철저히 차기 정부의 ‘연착륙’을 위한 실무 기구에서 머물 것이며, 인수위원장도 내부 정책통 중에서 낙점돼 의외로 밋밋한 인사가 될 것이란 설명이다. 박 당선인의 경제정책 기조를 잘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이나 진영 정책위의장 정도가 적임이란 평가다. 당내 정책통인 유일호 비서실장 발탁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반면 인수위원장과 인수위원이 각기 차기 총리와 내각의 수장으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도 있다. 다른 측근은 “대선 과정에서 이미 많은 인사를 영입하는 바람에 인력 풀(POOL)이 제한적이어서 인선이 늦어지는 것 같다”며 “향후 내각에 중용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철저히 검증하자는 내부 의견이 있다”고 말했다. 인수위원장은 대통합을 상징하는 인사가 맡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정갑영 연세대 총장, 진념 전 경제부총리, 한덕수 한국무역협회장 등 호남 출신이면서 정책 수행능력이 검증된 외부 인사들은 절충안으로 거론된다.

내부 정책통 중심으로 가자는 측은 실무형 인수위를 주장하며 인수위와 내각을 분리하자는 입장이다. 반면 인수위를 ‘섀도캐비닛’으로 이해하는 쪽은 인수위와 내각의 업무 연속성을 강조하고 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