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성인 절반 ‘당뇨병’… 국가적 대란 우려
입력 2012-12-24 18:16
‘눈앞에 다가온 당뇨대란! 해결책은 무엇인가’… 지상중계
국민일보 쿠키미디어는 지난 4일 ‘눈앞에 다가온 당뇨대란! 해결책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13번째 ‘고품격 건강사회 만들기 토론회’를 개최했습니다. 우리나라 30대 이상 성인 10명 중 1명은 당뇨병을 앓고 있고, 2명은 잠재적인 당뇨병 단계로 나타나 오는 2050년에는 성인 절반가량이 당뇨병에 걸린다는 예측이 나왔습니다. 이에 당뇨대란이 현실로 다가왔다는 경고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국내 당뇨병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다가올 당뇨대란에 대비하기 위한 국가적 질환 관리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편집자주>
◇일시
2012년 12월 4일 14시
◇참석자
나성웅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장)
김성래 (대한당뇨병학회 홍보이사)
임영배 (한국당뇨협회 총무이사)
정영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장)
◇진행
김민희 쿠키건강TV 아나운서
◇방송
12월 25일 20:20∼21:50 (연출·홍현기 쿠키건강TV PD)
-국내 당뇨병 인구는 얼마나 되나?
◇나성웅=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당뇨병을 치료한 사람들의 숫자를 통계로 한 자료를 보면, 현재 당뇨병 성인 환자 추계 수치는 약 300만명 정도다. 하지만 당뇨병 환자의 정확한 통계는 알 수 없다. 당뇨병에 대한 자가 인식이 어려워 당뇨병 환자지만 그 사실을 몰라 병원에 가지 않는 환자들이 파악되지 않기 때문이다. 300만명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성래=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는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당뇨병학회 자료에 따르면 국내 만 30세 이상 성인 인구의 당뇨병 유병률은 10%, 잠재적 유병률은 3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세 이상 성인에서 당뇨병은 통계상 약 300만명 정도로 추정 되는데, 이는 공복혈당을 기준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전체 당뇨병 환자 수라고 말할 수 없다. 공복혈당은 높지 않지만 식후 혈당이 높아 당뇨병 기준에 들어가는 환자 수와 30세 이하의 당뇨병 환자 수 등을 다 합치면 사실상 현재 우리나라 전체 당뇨병 환자 수는 400만명 이상일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당뇨대란이 현실로 다가왔다는 경고의 목소리가 높다.
◇김성래= 2050년 우리나라 당뇨병 인구는 지금의 2배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지금의 당뇨병 유병률이 높아지지 않는다고 가정해도 40년 정도가 흐르면 우리나라 평균 연령이 노령화 돼 당뇨병 환자 수도 그만큼 증가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당뇨병의 경우 나이가 많아질수록 유병률이 높아지는 특징을 보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노령 인구가 증가하면 당뇨병 환자 수도 많이 증가하는 것이다. 지금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당뇨병 예방 사업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늘어나는 유병률 추세(2001년 8.6%∼2010년 10%)와 노령화가 진행되는 것을 감안할 때 당뇨병 환자 수는 지금의 2배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임영배= 당뇨병 환자들 중 젊은 연령층이나 지방에서 농사를 짓는 사람 등은 당뇨병 증상을 자각하지 못하거나 본인이 건강하다고 생각해 제대로 진단을 받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당뇨병 인구 중 50%는 본인이 당뇨병인지 모르는 그룹과, 50%는 당뇨병을 인지하고 있는 그룹으로 나뉜다. 하지만 당뇨병을 인지하고 있는 그룹에서 50%만 병원에 다니면서 진단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나머지는 제대로 된 진단을 받지 못해 결국 본인이 당뇨병 환자인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다. 이를 포함하면 앞으로 당뇨병 환자 수는 더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당뇨병 환자 급증이 우리나라 건강보험재정 및 보건의료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나성웅= 주요 사망원인을 암,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 등으로 구분했을 때 이들 모두는 고혈압과 당뇨병에서 진행될 수 있는 합병증들이다. 때문에 국가적으로 건강보험재정의 안정성 측면에서 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이들 질환으로까지 진행될 경우 국가의 부담은 매우 커질 수밖에 없다. 당뇨병 유병률은 노인 인구가 더 많고 갈수록 만성질환이 증가하기 때문에 초고령화 돼 있는 사회에서 국가가 지는 재정적 짐이 크다. 때문에 국가재정의 건전성 측면에서 합병증으로 이동하기 전에 초기부터 당뇨병에 대한 선행질환 예방을 하지 않으면 국가 건보재정은 더 이상 감당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김성래= 당뇨병은 나중에 오는 합병증이 가장 큰 문제다. 당뇨병 학회지에 보고 된 연구를 보면, 비교적 합병증이 없는 초기 당뇨병 환자의 의료비용이 1이라고 하면 미세 담백뇨가 나오는 환자는 1.3배, 담백뇨가 나오면 2.4배, 나중에 신장이식이나 혈액 투석을 하는 환자들은 23배의 의료비가 소요가 된다. 즉 당뇨병을 초기에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개인적 불행뿐만 아니라 우리의 제한돼 있는 의료비를 합병증이 유발된 말기환자들에게 쏟아 붓게 된다. 따라서 초기에 당뇨병에 대해 진단을 내리고 잘 관리해 합병증으로 넘어가지 않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정영호= 건강보험재정 진료비 지출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질환이 당뇨병과 고혈압이다. 당뇨병의 경우 총 진료비가 2008년에는 9000억원이 넘었고, 2012년에는 1조3000억원이 넘는 진료비가 건강보험재정에서 지출됐다. 당뇨병 사망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비해 2∼3배 높은 10만명 당 30여명 수준이다. 당뇨병이 합병증 등 중증으로 진행되기 전 단계에서 조기 발견과 관리를 강화해 의료비 부담을 줄여야 한다.
-다가올 당뇨대란에 대비하기 위한 우선 과제와 국가적 질환 관리 방향은?
◇임영배= 국내 당뇨병 인구가 400만명이라고 했을 때 진료를 받고 있는 약 200만명에게 1조3000억원의 높은 건보재정이 지출되고 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합병증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는 환자가 본인이 당뇨병 환자인지 인지하지 못하는 나머지 200만명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당뇨병에 대한 홍보를 통해 질환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합병증의 위험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알리는 것이다. 또 당뇨병 진단 시 교육을 세분화, 활성화시켜 초기 관리를 잘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김성래= 해외 데이터를 보면 당뇨병 환자는 교육만 잘 시켜도 약제비의 60%를 감축시킬 수 있다고 한다. 약을 많이 쓰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정책적으로 뒷받침해 환자들에게 교육을 제대로 시켜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다. 또 관리를 잘하고 있는 환자에게는 인센티브를, 교육을 제대로 받지 않는 환자는 보험적용에서 제외하는 등의 방법으로 적극적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같은 초기관리는 결과적으로 의료비 감축을 가능하게 해 당뇨대란을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정영호= 만성질환에 대한 우리의 관심과 정책적 배려가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예방 및 공중보건 지출은 OECD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예방과 공중보건 지출에 보다 많은 투자가 이뤄져 비만, 흡연, 음주 등의 건강위협 요인을 사전에 예방하고 당뇨병 등의 만성질환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사후치료 보다 예방, 건강증진 전략에 포커스를 맞춘 정책으로 가야한다. 보건복지부, 병원부처, 범정부적 국민지지와 협조 등이 필요한 부분이다.
◇나성웅= 당뇨병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조기 발견이다. 규칙적인 진료와 복약, 자기주도형 관리가 중요하다. 장기적으로 자기주도형 당뇨예방사업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 정책을 개발하고 있는 단계다. 당뇨병 인지율을 높여 인식개선 사업을 통해 그 대상자들을 자기주도형 관리체계로 끌어올 수 있도록 정책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 또 경증 당뇨병 환자는 사회복귀가 가능토록 하고 중증 당뇨병 환자는 심혈관, 만성신부전 등의 합병증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의료비 감축을 위해 대상별로 관리하는 것도 숙제다. 지적되는 문제점들이 정부정책에 녹아들 수 있도록 당뇨병 인식개선 사업과 교육 및 홍보 사업에 매진하고 인센티브 구조와 관리체계를 만드는 등 관련 단체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겠다.
정리=전유미 쿠키건강 기자 yumi@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