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어디로 가나]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 연내 선출… ‘패배 책임론’ 공방

입력 2012-12-24 19:28


비상대책위원장 등 지도부 구성과 대선 패배 책임론을 놓고 민주통합당 내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1주일 내 원내대표 선출키로=민주당은 24일 당무위원회·의원총회 연석회의를 열고 비상대책위원장 겸 신임 원내대표 선거를 연내 치르기로 결정했다. 이언주 원내대변인은 의총 종료 직후 국회 정론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선거는 올해 안에 하는 것으로 원내대표 선거관리위원회에 권고키로 했다”고 밝혔다. 원내대표의 비대위원장 겸직안은 찬성 45표, 반대 37표로 의결됐다. 당헌·당규에 따라 새 원내대표의 임기는 박지원 전 원내대표의 잔여 임기가 종료되는 내년 5월 초까지로 하고, 선출 전까지 박기춘 원내수석부대표가 권한을 대행한다. 민주당은 또 신임 비대위원장이 확정되는 대로 대선 평가위원회와 워크숍 등을 통해 반성 및 당 혁신에 대해 논의를 진행키로 했다.

앞서 당무위에서는 원내대표 선출을 위한 선관위를 구성키로 하고, 위원장에 김우남 의원을 임명했다. 또 비대위 체제 전환에 따른 당 지도부의 선출 기한 연장을 위해 특례조항을 신설할 중앙위원회를 28일 열기로 했다. 당헌·당규상 당 대표 사퇴 이후 두 달 안에 전당대회를 열어 새 대표를 선임해야 하지만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판단 아래 최대 6개월까지 전대를 연기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당 관계자는 “원내대표 선거 투표는 26일 후보 공고 이후 28일 중앙위와 함께 치러지거나 주말 이후 31일에 열릴 것”이라며 “워크숍은 1월 3∼4일쯤 개최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주류·비주류 ‘진통’=당초 이날 회의에서는 지난 21일 의총에 이어 비대위원장 지명 권한을 둘러싼 갈등이 예상됐다. 그러나 문재인 전 대통령 후보가 비서실장이었던 노영민 의원을 통해 대표 권한을 행사하지 않겠다고 밝혀 이 논란은 빨리 일단락됐다. 박 전 원내대표도 “문 전 후보가 내려놓겠다니 더 말하면 부관참시”라고 했다. 당무위는 문 전 후보에게 권한이 없다는 유권해석을 내리고 비대위원장 선출 전까지 당 대표로서의 법적, 통상적인 권한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확인했다.

하지만 대선 패배 책임론을 놓고 난상토론이 벌어졌다. 고성도 오갔다. 비주류 측에서는 당사자인 문 전 후보에 대한 책임을 거론하며 국회의원직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동시에 친노(親盧·친노무현)와 공동선대위원장 등 선대위 지도부의 책임론도 제기됐다. 4·11 총선과 대선 등에서 패배한 만큼 지역구 의원들의 재신임을 물어야 한다는 얘기도 있었다. 한 참석자는 “‘선(先)혁신 후(後)새판짜기’를 해야 하나 정작 책임지려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고 전했다. 주류 측에서는 선대위 구성이 대부분 비노(非盧) 인사였던 점 등을 들어 친노 책임론이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비대위 종료 시점을 두고도 의견이 갈렸다. 내년 4월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전인 3월 중순에는 새 지도부를 선출해야 한다는 쪽과 비대위 체제로 계속 이어가자는 의견으로 대립했다. 비대위 구성 논란으로 촉발된 주류·비주류 간 갈등은 야권발(發) 정계 개편을 둘러싼 주도권 싸움으로 비화되는 양상이다. 주류 측은 민주당을 중심으로 외연을 확대하는 방향을 제시한 반면, 비주류 측은 친노를 2선 후퇴시킨 뒤 무소속 안철수 전 후보를 중심으로 한 ‘새판짜기’를 주장하고 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