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원장 지명권 논란… 민주, 12월 24일 당무위서 결론
입력 2012-12-23 22:12
대선 패배 이후 지도부 공백이 계속 이어지는 가운데 민주통합당이 24일 비상대책위원장 지명 문제를 놓고 당무위원회까지 개최키로 했다. 주류와 비주류의 주장이 대치하고 있는 문재인 전 후보의 비대위원장 지명 권한 여부를 당헌·당규 해석 권한을 가진 당무위에 맡겨 결정토록 하자는 것이다.
주류는 지난 11월 18일 지도부 총사퇴 때 문 전 후보에게 대표권한대행을 위임했기 때문에 당 대표의 비대위원장 지명권을 문 전 후보가 행사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비주류는 당시 ‘대선 후보’에게 대표권한대행을 맡긴 것이고, 대선 패배로 ‘후보’ 자격이 이미 소멸됐기 때문에 자동으로 대표권한대행 자격도 상실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비주류의 주장에 주류 측은 재차 “대권권한대행을 위임할 때 ‘당 후보인 문재인 의원에게 위임한다’는 내용이 있고 문 전 후보가 의원직을 사퇴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명권이 유효하다”는 반론을 펴고 있다.
이에 따라 24일 오전에 열리는 당무위에서 문 전 후보에 지명권이 있다고 결정이 되면 이르면 이날 중 비대위원장이 발표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당 주변에서는 비대위원장으로 여전히 정세균 상임고문의 이름이 가장 많이 거론되지만 반대도 적지 않다. 정 고문 역시 친노(親盧·친노무현)계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당장 비주류 4선인 김영환 의원은 23일 홈페이지 글에서 “총선과 대선에서 연거푸 패배한 친노 세력은 역사 앞에 큰 죄를 지었다”며 “민주당은 이제라도 친노의 잔도(棧道)를 태우고 새로운 길로 가야 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때문에 계파색이 옅은 중진 의원들이 거론되지만 한 초선 의원은 “중진 기용은 너무 과거로 돌아가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많다”고 했다. 문 전 후보가 시민사회와 진보 진영까지 아우른 ‘국민연대’ 관련 인사들도 접촉해 왔기 때문에 외부 인사에게 비대위원장을 맡길 수도 있다.
주류 당무위원들이 많아 현재로선 가능성은 다소 낮지만 만약 당무위에서 문 전 후보의 지명권이 유효하지 않다는 결론이 나올 경우 지도부 공백의 혼란이 더욱 가중되면서 당이 크게 흔들릴 가능성이 적지 않다. 아울러 문 전 후보가 누구를 비대위원장으로 지명하든지 당내 주류·비주류 간 갈등 양상은 계속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한편 손학규 상임고문은 22일 밤 자신의 싱크탱크 격인 동아시아미래재단의 송년회에 참석해 “국민은 맹목적인 야권 단일화를 원한 게 아니었다”며 “시대정신을 제대로 읽지 못했고 자신들의 눈높이에 국민을 끼워 맞추려 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새 정치와 관련해 기껏 의원 정수 및 세비 감축 등 말단지엽적 논의가 있었으나 포퓰리즘 수준을 못 벗어났다”며 “새정치 공동선언은 국민의 외면 속에 곧바로 휴지통으로 던져졌다”고 평가했다. 송년회에는 민주당에서 이낙연 양승조 조정식 우원식 이춘석 최원식 의원이 참석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