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민생정부 구상] 국정원·국세청 “정권 바뀌었으니 교체 불가피”

입력 2012-12-23 19:34

감사원, 국가정보원, 국세청, 검찰, 경찰청 등 핵심 5대 권력기관은 모두 수장 교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부분 “정권이 바뀌었으니 교체가 불가피한 것 아니냐”는 분위기지만, 일부 임기가 보장된 기관들은 “유임도 가능하다”는 희망 어린 관측도 내놓고 있다.

원세훈 국가정보원장은 자연스레 교체될 것이라는 게 국정원 안팎의 지배적인 전망이다. 원 원장은 이명박 대통령의 서울시장 재직 시절부터 인연을 맺었던 인물로, 2009년 2월 국정원장에 취임한 이후 4년째 재직 중이다.

국세청 내부도 교체론이 더 많다. 2003∼2005년 재임한 이용섭(민주통합당 의원) 전 국세청장 이후 모든 국세청장들은 1년을 넘기지 못했다. 현 이현동 국세청장은 2010년 8월 취임했다. 이 청장은 내부 승진 청장으로 그동안 불미스러운 일에 휘말려 사법처리됐던 역대 국세청장들과 달리 조직을 안정적으로 이끌어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정권교체 이후 역대 청장들이 강도 높은 사임 압력을 받았던 점을 감안해 보면 교체가 불가피하다는 전망도 나온다.

감사원은 말을 아끼고 있다. 지난 2011년 3월 취임한 양건 감사원장은 아직 임기가 2년 정도 남아 있는 상태다. 감사원은 정치적 독립성이 중요한 기관인 만큼 교체보다는 내부 안정을 바라는 분위기가 강하다.

경찰은 김기용 경찰청장의 유임을 바라는 눈치다. 2년인 김 총장의 임기는 2014년 5월까지다. 경찰 관계자는 23일 “지난 5월 취임해 특별한 잘못 없이 조직을 무난히 이끌고 있는 청장을 불과 1년도 안 돼 교체하는 것은 새 정권에도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이른바 ‘검란(檢亂)’ 파동을 겪으면서 한상대 전 검찰총장이 물러나고, 김진태 대검 차장이 직무대행을 맡고 있는 만큼 후임 검찰총장 인선이 관심사다. 게다가 검찰개혁 문제까지 겹쳐 있어 박 당선인의 행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공정하고 합리적인 인선이 동요하는 검찰 조직을 안정시킬 수 있는 핵심”이라고 말했다.

노용택 신창호 강준구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