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민생정부 구상] 국정원장 外 모두 유임, 감사원장 필두로 ‘단명’
입력 2012-12-23 22:06
이명박 대통령은 취임 당시 5대 권력기관장 가운데 국가정보원장을 제외한 감사원장 검찰총장 국세청장 경찰청장을 유임시켰다. 어청수 경찰청장은 당선인 시절 임명돼 “이 대통령이 인사권을 행사했다”는 말이 나왔지만 이들 모두가 노무현 정부 시절 발탁된 인사들이었다.
이 대통령은 2008년 2월 새 정부 첫 조각을 발표하면서 전윤철 감사원장, 임채진 검찰총장, 한상률 국세청장을 바꾸지 않았다. 노무현 정부에서 청와대 치안비서관과 경기경찰청장 등을 역임하며 ‘잘 나가던’ 어 청장은 막 임기를 시작할 때였다.
새로 임명된 김성호 국정원장도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의해 국가청렴위원회 사무처장과 법무장관에 임명됐던 ‘참여정부 인맥’으로 분류가 가능했다.
당시 한나라당(현 새누리당)에서는 이를 두고 “전 정권에서 잘 나갔던 인사들을 주요 권력기관장에 앉히는 건 맞지 않다”는 비판이 일었다. 김 원장(경남 남해) 임명으로 이종찬 청와대 민정수석(경남 고성), 김경한 법무장관(경북 안동), 임 총장(경남 남해), 어 청장(경남 진양) 등 사정라인 전부가 영남 인사로 채워졌다.
하지만 노무현 정부 인사들의 운명은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전 감사원장이 2008년 5월 돌연 사퇴 의사를 표명한 게 시발점이었다. 전 감사원장은 “이 직위를 새로운 사람에게 넘겨 국정에 협조하는 것을 책무로 여겼다”고 해명했지만 이명박 정부로부터 사퇴 압력을 받았다는 얘기가 파다했다.
이듬해 1월에는 김 원장과 어 청장이 자리에서 물러났다. 김 원장은 김주성 기조실장과의 갈등설에 촛불정국 및 남북관계 경색 등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책임을 피하지 못했다. 김 원장 후임에는 원세훈 행정안전부 장관이 임명됐다. 어 청장은 ‘명박산성’을 쌓으며 정권과 코드를 맞췄지만 종교편향 논란 등으로 교체됐다. 이 대통령은 임기 2년차에 접어들면서 측근들을 전진 배치해 권력기관 분위기를 다잡고 보수 정권의 색깔을 분명히 하려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 청장도 2009년 1월 ‘그림 로비’ ‘충성 맹세’ 의혹 등으로 불명예 퇴진했다. 특히 한 청장은 박연차 전 회장의 태광실업을 ‘표적’ 세무조사해 자신을 발탁한 노 전 대통령을 일부러 겨냥한 게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키는 등 국세청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혔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