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의 ‘민생정부’] (하) 국민통합·정치쇄신

입력 2012-12-21 19:47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1987년 대통령 직선제 부활 이후 최고 득표율로 첫 과반 대통령이 됐지만 민주통합당 문재인 전 후보를 지지한 유권자도 48.02%(1469만여명)나 된다. 지역별로는 호남과 영남, 세대별로는 20·30대와 50대 이상, 이념으로는 보수와 진보로 뚜렷하게 갈렸다. 이처럼 심각하게 분열된 국론을 조기에 수습하고 상처를 치유하는 국민통합이 차기 정부의 시급한 국정과제로 떠올랐다. 박 당선인도 20일 대국민 인사에서 모든 지역, 성별, 세대의 사람을 골고루 등용하고 찬반을 떠나 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박 당선인은 후보 시절 국민대통합을 핵심 국정지표로 제시했다. 국민대통합의 핵심은 대탕평 인사와 지역균형발전이다. 특히 인사정책에서 국민통합의 성패가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정부가 가장 실패했다고 비판받는 대목은 편중된 ‘고소영’(고려대·소망교회·영남 출신) 인사였다.

박 당선인은 후보시절 언론 인터뷰에서 “국민대통합의 핵심은 인사탕평”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대통령이 된다면 지역이나 출신을 다 뛰어넘어 일을 제일 잘할 수 있는 인물을 뽑으려고 한다”며 “호남정권이니 영남정권이니 하는 말이 사라지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대통령과 동향이라고 해서 특별히 손해 보거나 우대받는 것은 둘 다 문제가 있다”며 소외지역 배려나 특정지역 역차별을 모두 배제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차별이나 특혜가 없는 세상을 만들어 더불어 살아가는 국민대통합을 실현하겠다는 게 박 당선인의 의중이다. 다음주에 발표될 것으로 보이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선에서부터 대탕평 인사가 이뤄질지 주목된다.

박선규 전 선대위 대변인은 지난 20일 브리핑에서 “당선인이 국민 앞에 약속했던 국민대통합과 민생정부, 정치쇄신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인수위의 모든 준비가 이뤄져 갈 것이며 당연히 인선이 그런 방향에서 고민되고 모색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당선인은 지난 8월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된 직후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김해 봉하마을 묘역을 참배하는 등 국민대통합을 위한 파격 행보에 나섰고 당에 100% 대한민국대통합위원회를 설치했다.

또 과거사 인식 논란이 한창이던 9월에는 5·16 군사쿠데타, 유신, 인혁당 재건위 사건 피해자 및 유족들에게 공식 사과하기도 했다. 비록 무산되기는 했지만 전태일 재단 방문도 시도했다. 아울러 박 당선인은 1979년 10월 부마민주항쟁 관련자 및 긴급조치 피해자들의 명예회복과 보상을 공약으로 제시해 추진 중이다. 김경재 대통합위 기획특보는 21일 “우리나라의 사회발전과 총화를 위해서 이념의 차이를 뛰어넘는 지도자의 용단과 탕평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박 당선인은 정치쇄신을 핵심 국정지표로 설정했다. 이번 대선에서 국민들의 새 정치에 대한 열망이 어느 때보다 높았다는 점에서 박근혜 정부는 정치쇄신을 강력하게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 정치가 소모적인 정쟁에서 벗어나 모든 특권을 내려놓고 국민의 삶을 보살피는 일에만 집중하도록 만들겠다는 게 박 당선인의 국정 비전이다. 이를 위해 지난 11월 발표한 정당개혁, 국회개혁, 민주적 국정운영 방안 등 정치쇄신안을 토대로 국정과제를 구체화할 계획이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