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비대위원장 누가 맡나
입력 2012-12-21 21:44
민주통합당이 비상대책위원장 인선 문제를 놓고 계파 갈등 양상을 보이고 있다. 친노(親盧·친노무현)계 중심 주류는 대표권한대행인 문재인 전 후보가 비대위원장을 지명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비주류 쪽은 문 전 후보가 대표권한대행을 먼저 내려놓아야 하고, 박지원 원내대표의 사퇴로 1개월 안에 뽑게 돼 있는 후임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겸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주류는 과거에도 큰 선거에서 패할 경우 당 대표가 사퇴하면서 비대위원장을 지명해 온 관례를 들어 문 전 후보가 비대위원장을 지명하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당헌에도 비상상황에서 당 대표의 비대위원장 지명권이 허용돼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21일 의원총회에서 문병호 정성호 최원식 의원 등 비주류 의원들은 문 전 후보의 지명권에 이의를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 전 후보가 대표권한대행으로 예우를 받은 것이지 대표의 전권을 공식적으로 위임받는 의결 절차는 없었다는 주장이다. 때문에 의총 도중 박 원내대표와 윤호중 사무총장 등 주류 쪽에서 지난달 18일 열렸던 최고위원회의 회의록까지 갖고 와 전권을 위임받은 정황을 설명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비주류 측은 문 전 후보의 비대위원장 지명에 여전히 불만이 가득하다. 주류가 중심이 돼 치른 선거에서 패했는데도 주류가 다시 차기 당권을 좌지우지하는 건 온당치 않다고 주장한다. 현재 정세균 상임고문과 김한길 추미애 전 최고위원, 박영선 의원 등이 비대위원장으로 거론되고 있는데, 김 전 최고위원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주류 쪽 인사들이다. 때문에 24일로 예정된 2차 의원총회에서 주류와 비주류가 재차 격돌할 가능성이 있다.
이런 가운데 문 전 후보는 비대위원장 지명을 위한 의견 수렴에 더 속도를 내고 있다. 그는 전날 4선 이상 중진의원 만찬에 이어 이날 3선 의원 및 상임고문단을 만났다. 국민연대 등 외부 인사들도 접촉 중이다.
한편 의총에서는 비대위가 구성될 경우 길게는 내년 6월 또는 7월까지 비대위 체제를 유지하자는 의견이 다수였다고 윤관석 원내대변인이 전했다.
손병호 백민정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