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층’… 우리나라 인구 6명중 1명, 1인 가구·65세 이상 절반
입력 2012-12-21 19:38
‘노후빈곤’과 가계부채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우리나라 인구 6명 중 1명은 연간 가처분소득이 1000만원을 넘지 못하는 빈곤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나홀로 가구’와 65세 이상 노인층의 절반가량이 빈곤층이었다.
또 담보대출 등 금융부채를 안고 있는 10가구 중 7가구는 매달 갚는 원리금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소득상위 20% 가구의 평균 순자산이 소득하위 20%보다 7배나 많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은 가속화됐다.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가처분소득을 기준으로 빈곤율은 16.5%로 집계됐다. 빈곤선은 연간 가처분소득 998만원으로 전체 인구의 6분의 1 정도는 이 기준에 미치지 못한 것이다.
통계청은 금융감독원·한국은행과 공동으로 전국 2만 가구를 표본으로 선정해 3월 31일 기준 자산과 부채 현황, 부채에 대한 인식도 등을 조사했다.
빈곤율은 1인 가구와 65세 이상 노인층에서 압도적으로 높았다. 1인 가구의 빈곤율은 50.1%로 4인 이상 가구(8.4%)보다 월등히 높았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 노인층 빈곤율이 49.4%로 근로연령층으로 분류되는 18∼64세의 빈곤율(11.6%)과 비교해 4배 이상 차이가 났다.
연령별 빈곤율은 20∼50대의 경우 10% 안팎을 유지하다 60대 42.5%, 70세 이상 63.5%로 급격히 증가했다. 제대로 된 소득이 없는 독거노인의 빈곤 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가계부채가 각 가구에 상당한 고통을 주는 것으로 조사됐다. 담보대출, 신용대출 등 금융부채를 가진 가구 중 68.1%는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답했다. 이들 가구의 79.6%는 저축이나 투자, 지출을 줄이고 있다고 답했다.
대출금 상환 때문에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지만 부채를 줄일 수 있다는 희망은 갖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1년 후 부채 규모 변화 가능성을 질문한 결과 부채가 그대로거나 늘 것이라는 응답이 68.7%나 됐다.
연령별 부채 현황을 보면 50대가 7634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 6502만원, 60세 이상 5705만원 등이었다. 이번 제18대 대선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생에 결정적 역할을 한 50대의 표심이 가계부채 해결에 있었다는 분석과 일맥상통한다.
한편 자산 양극화 현상도 심해지고 있다. 소득상위 20%의 순자산(자산-부채)은 6억756만원으로 소득하위 20%의 순자산(8917만원)보다 6.81배 많았다. 지난해에는 상위 20%의 순자산이 5억3258만원으로 하위 20%(9401만원)의 5.7배 수준이었다.
소득이 낮은 가구일수록 자산은 줄고 부채가 늘었기 때문이다. 상위 20%의 자산은 7억3941만원으로 지난해보다 8660만원 늘어난 반면 하위 20%의 자산은 9899만원으로 지난해보다 947만원 줄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