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시대 개막] 화해·통합의 정치 기지개… 여야 ‘국가지도자 연석회의’ 조기가동 공감대

입력 2012-12-21 19:25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대선 기간에 제안한 ‘국가지도자 연석회의’가 곧 가동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여야 모두 긍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고 이번 대선이 보수·진보 및 세대 간 대결로 치러지면서 국민통합 노력이 시급하다는 게 중론이기 때문이다.

박 당선인은 지난 15일 서울 강남지역 유세에서 “당선 직후부터 새 정부가 출범할 때까지 여야 지도자가 만나 대한민국의 새 틀을 짜기 위한 국가지도자 연석회의를 제안한다”고 했다. 또 당선 이튿날 민주통합당 문재인 전 후보와의 통화에서도 “앞으로 국민을 위해 협력과 상생의 정치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말했다.

새누리당 박선규 전 선대위 대변인은 21일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야당이 준비가 되고 박 당선인이 제시한 국가지도자 연석회의에 함께할 수 있다는 판단이 든다면 인수위 단계에서부터라도 얼마든지 같이 갈 수 있다”고 밝혔다. 박 전 대변인은 “박 당선인은 어떤 이야기를 내놓을 때 그냥 즉흥적으로 툭 던져놓는 사람이 아니다. 야당이 제시한 좋은 정책은 과감하게 수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 박용진 대변인은 YTN 라디오에서 “당의 새 지도부가 판단할 내용이긴 하지만 대통합 정치를 추구한 야당이기에 응하지 않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했다. 문 전 후보가 대선 과정에서 대통합 내각을 공약하는 등 국민통합과 여야 협력을 강조했기 때문에 박 당선인이 주도하는 연석회의에 불참할 명분과 이유가 없다는 뜻이다.

그러나 민주당은 대선 패배로 한동안 극심한 내홍이 불가피하다. 당 대표와 원내대표를 뽑아 지도부부터 새로 구성해야 하는 상황이다. 발등에 떨어진 불을 끄는 게 시급하다. 따라서 실질적인 연석회의 구성 논의는 내년 초에나 가능하리란 관측이 나온다.

박 당선인이 지난 20일 대국민 당선 인사에서 ‘대탕평책’을 국정운영의 핵심 기조로 밝힌 만큼 연석회의는 인수위와 함께 핵심 축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문 전 후보를 지지했던 48%의 유권자를 끌어안지 못하면 정권 초기부터 이명박 정부의 ‘촛불시위’ 같은 악재가 터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연석회의는 박 당선인이 직접 참여하는 방안과 여야 지도부가 참여하는 방안 등이 다각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더 파격적인 구성안이 나올지도 관심사다. 문 전 후보나 무소속 안철수 전 후보 측 인물, 또는 재야인사들을 합류시켜 보수와 중도, 진보까지 아우르는 방안을 추진할 수도 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