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선 끝나자마자 가격 올리는 얌체 商魂
입력 2012-12-21 19:03
대통령 선거가 끝나자마자 물가가 줄줄이 오르고 있다. 두부와 콩나물, 밀가루, 소주 등 가공식품 가격이 들썩이는 데다 최근 한파로 신선식품 가격도 뜀박질을 하고 있다. 동아원이 어제 밀가루 출고가를 평균 8.7% 인상했고, 하이트진로는 오늘부터 소주 출고가격을 8.19% 올린다. CJ제일제당과 풀무원, 종가집도 두부와 콩나물 가격을 7∼10%가량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배추와 무 대파 가격은 작년보다 두세배 가량 뛰었다.
공공요금도 고삐가 풀렸다. 27일부터 인천공항 고속도로 통행료가 7700원에서 8000원으로 오르는 등 8개 민자고속도로의 통행료가 100∼400원씩 인상된다. 한국수자원공사가 지방자치단체 등에 공급하는 광역상수도와 댐용수 요금도 내년 1월 1일부터 각각 t당 13.8원, 2.37원 인상돼 가구당 수도요금이 월평균 141원 오를 예정이다.
국제 곡물가격 급등으로 업체들의 원가 부담이 커진 것은 사실이지만 원가절감 노력이나 구조조정 없이 소비자에게만 가격 부담을 전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최근 원·달러 환율도 떨어져 수입업체들의 부담이 훨씬 줄었다. 그런데도 제품 가격을 올리는 것은 정권 말 국정이 느슨해진 데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민생정부와 경제민주화를 강조하고 있어 새 정권 출범 후 가격 인상이 여의치 않을 것으로 보기 때문일 것이다.
국민들은 장기 불황에 따른 일자리 감소와 얇아진 월급봉투로 고통을 겪고 있다. 국민들의 고통을 분담하는 차원에서 업체들은 가격 인상을 자제해야 마땅하다. 그런 기업만이 소비자들의 신뢰를 받아 지속 성장할 수 있다.
정부는 국정 공백을 틈탄 편법·부당한 가격 인상이 없는지 철저히 감시해야 한다. 원가 비중이 미미한데도 국제 곡물가격 상승을 빌미로 가격을 턱없이 올리거나 가격 인상 분위기에 편승해 무조건 가격을 올리는 업체에 대해선 철퇴를 가해야 한다. 공정사회를 훼손하는 업체들 간 담합도 경계해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