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시대 개막] 민주 “先 안정, 後 정계개편”
입력 2012-12-20 19:39
민주통합당이 대선 패배 이후 지도부 공백 상태를 조기에 수습하기 위해 20일부터 내부 논의에 들어갔다. 이른 시일 안에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를 출범시켜 당을 안정시키고, 이후 당 쇄신 방안이나 외부 세력과의 연대 등을 통한 정계 개편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선(先) 안정, 후(後) 개편’ 목소리가 많은 것은 그만큼 대선 패배로 인한 내상이 크기 때문이다. 한 재선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당장 뭘 해야 할지 모르겠고, 솔직히 뭘 할 만한 의욕도 생기지 않는다”며 “패배의 충격을 추스르는 데도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내부 수습을 위한 비대위 출범을 서두르자는 공감대는 형성돼 있다. 민주당은 지난달 이해찬 전 대표 등 지도부가 총사퇴하면서 문재인 전 후보가 대표권한대행을 맡고 있다. 문 전 후보 측 핵심 관계자는 “문 전 후보가 오늘부터 당의 고문, 중진 의원들과 차기 지도부 문제를 논의하기 시작했다”며 “1∼2주 안에 결론을 내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비대위는 당 대표를 공식적으로 선출하기 위한 과도기적 기구일 수 있지만, 장기로 운영해 비대위원장이 당 대표 역할을 맡을 수도 있다. 내년 4·24 재·보궐선거가 있어 선거 이후의 책임론 등에 휩싸이지 않으려면 비대위원장 체제로 선거를 치른 뒤 새 대표를 뽑는 게 나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대위원장을 누구로 하느냐를 놓고 친노(親盧·친노무현)와 비노(非盧)계의 갈등이 재연될 수 있다. 양측은 대선 경선 때의 갈등은 물론, 선거 과정에서도 열심히 도왔느냐 아니냐를 놓고 앙금이 남아 있는 상태다. 때문에 친노도, 비노도 아닌 중립파 중진 의원이 비대위원장으로 추대될 가능성이 높다.
일각에선 대선 과정에서 민주당과 진보정의당, 시민사회 인사들의 모임체인 ‘국민연대’를 신당(新黨) 등으로 발전시키는 방안도 거론되지만 당내에서는 “아직은 먼 일”이라는 시각이 많다.
한편 손학규 상임고문은 내년 초 독일로 출국해 6개월간 머물며 진로를 모색할 것으로 알려졌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