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시대 개막] 대통령직 인수위 구성 어떻게… 인수위원장에 실무성향·호남출신·외부인사 엇갈려

입력 2012-12-20 21:44


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곧 구성할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박근혜 정권의 5년 국정운영 기조를 수립할 책임자인 인수위원장 자리를 놓고는 벌써 ‘실무 성향’ ‘호남 출신’ ‘외부 인사’ 등 엇갈린 하마평이 난무한다.

박 당선인이 아직 인수위 관련 지침을 내놓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몇 개 그룹이 각기 구성 안(案)을 놓고 실무 차원에서 논의를 진행 중이다. 대선 과정부터 이 안을 준비했던 선대위 관계자는 20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박 당선인이 선거운동 과정에서 내건 시대정신을 상징하는 인물이 인수위원장을 맡을 것”이라며 “공약 집행 등 바로 실무를 시작할 수 있는 인사 중심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민생정부’ ‘국민 대통합’ ‘정치쇄신’과 관련된 인사가 인수위원장에 발탁될 가능성이 크다. 당내에서 우선 거론되는 인물은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과 안대희 정치쇄신특별위원장이다. 김 위원장은 박 당선인의 공약 개발을 총괄했고 청와대, 정부, 국회 등을 두루 경험해 정책과 정무 능력을 겸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안 위원장은 정치쇄신과 관련해 거론되고 있다. 안 위원장이 제안한 대통령의 인사권 분산이나 기초단체장·기초의원 정당공천제 폐지 등 정치개혁 방안이 ‘새 정치’를 실천하는 바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 일각에선 박 당선인이 정권교체를 넘어선 시대교체를 강조했던 만큼 새누리당 색깔이 없는 외부 인사를 영입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선대위 핵심 관계자는 “국민 대통합을 상징하는 깜짝 인사를 제안하려 한다. 광주·전남 출신 인사가 적합하다”고 말했다. 이런 취지에서 전남 영암 출신의 박준영 전남지사 등이 거론되기도 한다. 외부 인사 영입을 주장하는 쪽은 차기 정부의 조각까지 염두에 두고 인수위원장을 아예 초대 총리로 연임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인수위원장 밑에서 실무를 총괄하는 부위원장에는 지난 정권의 인수위에 참여했던 최경환 의원이 검토되고 있다. 중산층 재건 공약을 빨리 집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진영 정책위의장도 함께 물망에 올랐다.

인수위 각 분과위원장으로는 박 당선인의 정책과 정무를 보좌했던 측근들과 국민행복추진위 산하 추진단장들이 거론된다. 공약 개발에 관여했던 안종범 강석훈 나성린 이종훈 의원 등이 경제 분과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 당선인 비서실장으로는 이학재 의원, 대변인엔 이상일 의원의 이름이 들린다.

인수위 인선은 예상보다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선대위 관계자는 “선거가 박빙으로 가면서 미처 준비할 틈이 없었던 점이 이명박 대통령 때와 다르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구성을 서둘러 26일쯤 위원장과 부위원장, 24명 이내의 위원 명단만 미리 발표하리란 관측도 있다. 인수위 사무실이 들어설 장소로는 세종시 정부청사 이전으로 빈 공간이 생긴 세종로 정부중앙청사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