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시대 개막] 관가, 당선인에 바란다 “금융시장 안정화에 관심 가져 달라”

입력 2012-12-20 02:46

관가와 금융권에서는 박근혜 후보의 당선이 사실상 확실시되자 안정적인 국정운영과 경제 활성화에 기대를 거는 모습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내년도 세계경제 여건이 상당히 어렵다”면서 “박 당선인이 경제에 많은 비중을 둬야 우리나라가 치고 나갈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어 “박 후보 당선으로 지금까지 추구해온 정책이 갑자기 바뀌진 않을 것 같아 다행”이라며 “경제정책이 자주 바뀌면 기업들이 혼란스러워하거나 좌절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공정거래위원회 관계자도 “우리 경제에 상생과 공생이 화두인 만큼 시장의 반칙을 바로잡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소비자정책은 많이 언급되지 않았는데 공정위에서 이 부분을 채워가겠다”고 강조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농어민 소득을 늘리고 복지를 강화하겠다는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에 크게 기대하는 분위기다. 쌀 직불금 확대와 농어민들의 재해보험제도 강화 등 농어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해양수산부 부활에 대해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식품산업과 수산을 일원화하기 위해 노력해 왔는데 다시 분리하겠다는 것은 비효율적인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대통령 당선인과 함께 국내외에 닥친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데 힘쓸 것을 다짐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저금리·저성장의 경기둔화가 장기화되고 있기 때문에 금융시장의 안정을 유지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대통령 당선인은 금융경제가 실물경제의 회복을 이끌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도 “모든 임직원은 새 정부와 함께 가계부채 문제 등 경제 난국 극복에 매진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대선 전 공약으로 거론됐던 금융감독체계 개편에 대해서는 신중한 재검토를 주문했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그간 금융당국의 통합감독체계는 1997년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데 큰 기여를 했었다”며 “무엇이 효율적인 체계인지 충분한 의견을 수렴하고 백년대계의 현명한 결정을 내려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교육과학기술부의 국장급 간부는 “교육 정책의 경우 박근혜-문재인 후보 간 차이가 많았다. 특히 특목고 등 고교 정책에서 상당히 달라서 걱정을 많이 했었다. 현재의 정책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어서 다행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환경부의 국장급 간부도 “박 당선인이 환경 이슈들에 대해 밝힌 공약을 보면 환경 분야와 환경부 조직에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이 간부는 “다만 환경부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박 당선인이 공약대로 경제위기 극복에 최우선 순위를 두게 되면 환경 부문을 비용으로 보고 다소 소홀히 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있다”고 전했다.

보건복지부의 실장급 간부는 “신의, 원칙의 정치를 해 온 박 당선인이 이 같은 초심을 갖고 보건의료 및 복지 정책도 추진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실현 여부를 두고 논란을 빚었던 ‘4대 중증질환(암, 심장, 뇌혈관, 희귀난치성) 100% 국가부담’ 같은 공약에 대해 그는 “조만간 꾸려질 대통령직인수위원회와 복지부 실무자들이 잘 협의하면 현실에 맞게 합리적으로 조정될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다.

또한 박 당선인이 미래창조과학부 신설을 통해 과학기술을 국정의 중심에 둘 것이란 기대감도 감지됐다.

백상진 이경원 민태원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