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시대 개막] 보수 대동단결… 朴 인물론이 정권심판론 압도

입력 2012-12-20 02:30


18대 대통령 선거는 지지층 결집력과 인물론에서 승패가 갈렸다. 사상 유례없는 보·혁 양강 구도에서 보수 성향 지지자들의 응집력이 진보 진영보다 견고했고, 후보의 인물론은 정권심판론을 압도했다.

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 후보가 19일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의 거센 추격을 뿌리치고 승리한 것은 박 후보를 지지하는 지역과 계층, 세대가 어느 때보다 강하게 응집해서였다. 전체 유권자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수도권에서 박 후보가 문 후보와 대등한 경쟁을 벌일 수 있었던 것도 그를 지지하는 보수층과 50대 이상 중장년층이 대거 투표에 나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 선대위 관계자는 “젊은층과 세대 간 대결에서 고령층의 분노가 폭발했다. 영남과 50대 이상에서 완승했다”고 말했다.

이번 대선은 박 후보의 ‘개인기’로 승리한 선거라고 볼 수 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정권교체 지수가 50%를 넘는 상황에서도 박 후보의 당선 가능성은 50%를 상회했다. 이명박 정부의 실정을 심판하기 위해서는 정권교체가 필요하다고 느끼면서도 유권자들이 후보 개인 자질 면에서 박 후보를 문 후보보다 높게 평가했다는 뜻이다. 일부 조사에서는 박 후보의 당선을 정권교체로 인식할 정도였다.

선대위 관계자는 “인물을 보는 선거에서 박 후보가 문 후보를 앞섰다”며 “국정운영 경험과 위기 극복에 있어 박 후보가 적임자라는 것이 유권자들의 판단이었다”고 말했다.

아울러 박 후보가 선거유세 과정에서 참여정부뿐만 아니라 이명박 정부도 민생에 실패했다고 비판하면서 현 정부와의 차별화를 시도한 것도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또 ‘헌정사상 첫 여성 대통령’을 내세워 시대교체를 강조한 것도 긍정적인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박 후보가 이념보다는 민생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한 전략이 중도층의 표심을 움직였다고 보는 시각이 있다. 부동층이 막판에 박 후보에게 지지를 보낸 것도 그의 민생 해결 의지를 높이 샀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유권자 지형의 변화도 빼놓을 수 없다.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2002년 16대 대선부터 올 18대 대선까지 20대와 30대 유권자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50대와 60대 이상 유권자 비율은 꾸준히 증가했다. 저출산과 고령화의 영향으로 10년 전보다 20대와 30대 유권자는 130만명 줄고 50대와 60대 이상 유권자는 550만명 이상 늘어났다. 여기에다 야권 지지 성향이 강한 젊은 유권자들의 투표율 상승폭은 크지 않은 반면 박 후보를 강하게 지지하는 고령층 투표율이 크게 올라간 게 문 후보와의 격차를 벌린 요인으로 분석된다.

민주통합당이 국가정보원 여직원 댓글 의혹을 제기하는 등 네거티브 선거전을 펼친 것이 문 후보에게 악재로 작용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 관계자는 “이런저런 마타도어에 대한 거부감으로 투표율이 낮아질 것으로 봤는데 거꾸로 우리 지지층의 투표율을 높이는 쪽으로 작용했다”고 했다.

수도권 등을 중심으로 여전히 강하게 존재하는 친노(親盧·친노무현) 세력 재집권에 대한 견제심리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김재중 유동근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