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문용린 교육감 당선인에게 말한다
입력 2012-12-20 02:49
우리나라 교육의 가장 큰 문제는 입시위주에 따른 부작용으로 요약된다. 창의력이 왕성한 시절 오로지 일류대에 들어가기 위한 입시에 매몰돼 잠재적인 능력을 발휘하기는커녕 몸과 마음이 황폐해져 스스로 삶을 마감하는 사례도 드물지 않다. 이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 당선된 서울시 교육감의 책무가 막중하다.
우리 부모들이 걱정하는 학교폭력을 완전히 없애는 데도 힘써야 할 것이다. 중학생은 물론이고 최근에는 초등학교에서조차 약한 친구에게 빵 심부름을 시키는 이른바 ‘빵 셔틀’이 성행한다고 한다. 친구를 따돌리는 ‘왕따’는 어린이들에게 평생 잊지 못할 상처를 입히는 범죄행위나 다름없다. 일선학교와 긴밀히 협조해 소외되고 상처받는 어린이가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논란이 많았던 학업성취도 평가 문제도 지혜롭게 해결했으면 한다. 교육이라는 것이 평가가 전제돼야 지식을 어느 정도 수준으로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인지가 결정되는 만큼 당장 폐지하는 것보다는 대안을 마련해가며 심사숙고해 결론을 내렸으면 한다. 교사들과 학부모들이 우려하는 학교서열화가 되지 않도록 권역별로 시험을 치르는 등 대안을 찾아보기 바란다.
특목고 중 외국어고는 외국어를 집중 교육시켜 이 분야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원래 목적인데도 대입의 수단으로 변질돼 큰 원성을 사왔다. 대선에서도 폐지논란이 있었던 만큼 대변혁이 불가피하다.과학고처럼 설립 취지를 잘 살리는 방향으로 유도하지 못하면 더 심각한 문제에 봉착하게 될 것이다.
학생인권이 강화되고 보호돼야 한다는 원칙에 반대하지 않는다. 다만 전임 곽노현 교육감 시절 무리하게 만든 학생인권조례를 일선 학교에 내려 보내 교육부와 갈등을 빚은 전철을 되밟지 말기 바란다. 학생은 물론 교원단체, 사회단체 등 여러 곳의 의견을 종합해 합리적인 안을 마련했으면 한다. 특히 학생인권을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교권 침해 우려가 제기되는 만큼 균형을 맞춰 시행했으면 한다.
서울시 교육감은 다른 시·도 교육감의 본보기가 되기 때문에 어떤 교육철학을 갖고 있느냐가 중요하다. 때로 교과부와 상황인식이 달라 서로 충돌할 수도 있지만 교육자다운 면모를 잃지 말고 당당하고 품위 있게 처신해 줄 것을 부탁한다. 직선 교육감이란 점을 내세워 중앙부처와 자존심 싸움을 벌일 경우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들에게 돌아간다는 사실을 유념했으면 한다.
이제 치열한 선거전을 끝내고 영광스러운 자리에 오른 만큼 패자에 대한 아낌없는 위로와 경청의 자세가 필요한 시점이다. 어느 선거를 막론하고 100% 승리란 없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상대 후보의 공약이라도 현실성 있는 타당한 정책이라면 과감히 받아들였으면 한다.
일부 전교조 교사들의 과도한 이념지향 교육도 이젠 사라질 때가 됐다고 본다. 새 교육감은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정성이 담긴 참교육을 실천하기 바란다. 잇따른 교육감 낙마로 실망을 안겨준 서울의 교육을 임기 중 반드시 제자리로 돌려놓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