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교통수요유발 부담금 3배 인상

입력 2012-12-18 22:17

서울시가 사각지대 없는 대중교통 체계 구축을 위해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확대하고 2016년까지 저상버스를 지금보다 2배로 늘리는 방안을 추진한다. 또 교통수요를 유발하는 대형시설에 부과하는 부담금을 3배로 인상키로 했다.

시는 2016년까지 4년간의 대중교통 정책 기본방향을 담은 ‘제2차 대중교통계획’을 18일 발표했다. 이는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5년마다 수립하는 정기 계획이다. 수요 맞춤형 대중교통 도입, 편리한 교통 서비스 제공,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교통수요 관리 등 5개 분야·57개 세부 계획이 담겼다.

시는 우선 승용차보다 빨리 이동할 수 있는 대중교통을 위해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현재 114㎞에서 139㎞로 약 22% 확대한다. 기존 버스 정류장 중에서 혼잡하거나 환승하기 불편한 곳도 전면 정비키로 했다.

이어 내년 상반기 도시교통정비촉진법을 개정해 연면적 1000㎡가 넘는 시내 대형건물 3만 곳에 부과하는 교통유발부담금을 현재 ㎡당 350원에서 3배에 달하는 1000원으로 올릴 계획이다.

이 법안은 현재 국회 국토해양위원회에 계류 중이다. 법안이 개정될 경우 시가 징수하는 교통유발부담금은 현재 860억원에서 2457억원으로 크게 늘어난다.

시는 또 출근 시간대에 한정해 시 외곽에서 서울로 들어왔다가 돌아갈 때는 빈차로 무정차 운행하는 ‘공차회송버스’와 좌석을 지정해 회원제로 운영하는 ‘정기이용권 버스’ 등을 탄력적으로 도입키로 했다.

이와 함께 교통약자를 위해 현재 2018대인 저상버스를 2016년까지 전체 시내버스의 55%인 4053대로 늘리고, 장애인 콜택시도 현대 360대에서 600대 이상으로 확대한다.

버스 안 의자와 조명을 교체하고, 버스도착안내단말기(BIT)를 확대 설치한다. 모든 지하철역에는 최소 1개 이상의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고, 에스컬레이터도 늘린다.

윤준병 시 도시교통본부장은 ”2016년에는 누구나 시내 어디든 쉽게 찾아갈 수 있는 대중교통체계가 구축되도록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경 기자 vic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