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버스중앙전용차로제 논란 “대중교통 중심으로 개편” VS “왕복 6차선 한계로 불편”
입력 2012-12-18 22:12
충북 청주시가 도심 교통난 해소 등을 위해 내년 9월부터 버스중앙전용차로를 시행키로 하자 일부 시의원과 교통업계가 반발하는 등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18일 청주시의회에 따르면 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최근 논란의 중심에 섰던 버스전용차로 예산 30억2800만원을 원안대로 의결했다. 이에 따라 시는 왕복 6차로인 사직로 사직분수대∼복대사거리 3.8㎞ 구간에 버스중앙전용차로제를 도입할 방침이다.
왕복 6차로인 이 구간은 청주시내에서 교통량이 가장 많은 곳이다. 시는 도로포장과 차선·노면 도색, 승강장 이전, 신호등 설치, 가로수 이식 등 사업비로 30억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교통업계와 일부 시의원들의 반발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찬성 측은 중앙전용차로가 교통난을 해소해 도로 기능을 대중교통 중심으로 바꾸는 정책이라고 주장한다. 반대론자는 왕복 6차로인 도로의 현실을 고려하면 시민불편을 가져올 수 있어 시기상조라고 맞서고 있다.
김도수 청주개인택시지부 대의원은 “버스중앙전용차로는 최소한 왕복 8차선 이상 돼야 교통 흐름을 개선할 수 있다”며 “시민들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중앙전용차로는 전형적인 탁상행정에서 나온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최진현 시의원도 “대중교통 개편은 필요하지만 최소한의 예산으로 도입되는 중앙전용차로는 시민의 불편을 담보로 한 밀어붙이기식 행정”이라며 “교통 흐름을 무시한 성급한 정책은 말도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청주의 교통정책은 승용차가 아닌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개편돼야 한다”며 “녹색도시를 완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노력”이라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