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시·군 유료 공영주차장 대부분 적자 허덕

입력 2012-12-18 19:53

전북지역 자치단체들이 운영하는 공영주차장이 대부분 적자에 허덕이는 등 문제점이 많아 개선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18일 전북지역 각 시·군에 따르면 전주시의 경우 7개 유료 공영주차장 가운데 5곳이 사실상 손해를 보면서 운영되고 있다.

전주시시설관리공단이 운영하는 이들 주차장의 최근 1년 관리 현황을 보면 중화산동 주차장은 인건비와 운영경비 등이 4800여만원인데 수입은 1700여만원에 그쳤다. 또 서신동 주차장도 2690여만원이 소요됐지만 수입은 절반인 1300여만원에 불과했다. 삼천2동 주차장도 수입이 지출의 70%선에 그쳤다.

익산시는 창인·북부·매일 등 전통시장 3곳에 유료 주차장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모두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김제시에서 1곳뿐인 요촌동 유료주차장도 인건비조차 대지 못하는 형편이다.

결국 이들 유료 주차장 대부분이 해가 갈수록 예산만 낭비하고, 주변에 불법 주정차 차량만 양산하고 있다는 비판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전주시의 경우는 이들 주차장 이용률을 높이겠다며 인근 도로에 수억원을 들여 무인 단속카메라까지 설치한 상태다.

전주시 관계자는 “앞으로 1시간 무료이용 등의 혜택을 줘 불법주정차를 막고 공영주차장 이용을 유도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김제시는 부적절하게 공영주차장 건립을 추진하다가 시의회로부터 제동이 걸렸다. 시는 원평에서 경로당 진입도로를 개설하는 조건으로 사들인 땅에 주차장을 만들고, 신풍동사무소 신축부지로 매입한 땅을 주차장으로 쓰려다가 최근 시의회로부터 예산이 모두 삭감당하는 상황을 맞았다.

남원시의 경우도 공영주차장 조성비가 1면당 2500만원에 달해 이에 대한 정책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양해석 시의원은 “최근 5년간 252억원이 투자돼 1021면의 공영주차공간이 조성됐다”며 “남원시내에 방치된 750여채 빈집에 대해 시가 대신 철거해 주고 일정기간 주차장으로 활용하면 토지 매입보다 사업비가 20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