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총선 자민 압승 이후] 美 동맹 공고·中 갈등 우려
입력 2012-12-17 19:12
자민당의 부활로 미·일 관계는 더욱 공고해질 전망이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재는 16일 밤 총선 승리 직후 “미·일 동맹을 강화하지 않으면 강한 외교력을 확보할 수 없다”면서 미국을 가장 먼저 방문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그는 내년 1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2기 취임식을 전후로 미국을 방문해 양자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오바마 대통령도 16일(현지시간) 축하성명을 내고 “미·일 동맹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번영에 초석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일본의 차기 정부와 양국 및 지역·국제 현안에 있어 밀접한 협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미국과 손발을 맞추기에 자민당이 더 쉬운 상대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민주당 정권 역시 미국과 큰 마찰은 없었지만 미군기지 이전 등의 문제로 서로 대립각을 세우기도 했다. 아베가 집권 직후 미국행을 추진하는 것도 동맹 강화를 내세우며 방위협력지침 개정 등의 현안을 해결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하지만 미국은 일본의 우경화로 역내 주변국들과의 갈등이 고조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악화일로에 있는 일본의 주변국 관계가 심각한 마찰로 이어질 경우, 미국에도 큰 부담이 된다는 입장이다.
반면 중국 정가에선 일본 자민당 정권이 들어서면 민주당 집권 때보다 중·일 관계가 더 악화될 것으로 걱정해 왔다. 특히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분쟁의 파고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야스쿠니(靖國)신사 참배 문제를 둘러싼 갈등도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 외교부 화춘잉(華春瑩) 대변인은 17일 “일본 정치가(아베 총재)가 중·일 관계의 큰 틀을 중요시하면서 중국과 함께 중·일 관계의 건강한 발전을 추동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중국 언론들도 이날 일본 정부는 강경파에 영합하지 말고 합리적인 외교정책을 추구하라고 촉구했다. 관영 신화통신은 논평에서 “국내 강경파의 주장에 영합해 주변국에 싸움을 거는 대신 외교정책에서 더 합리적인 입장을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도 이번 선거로 일본에서 우익이 득세하면서 중·일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했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