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창동, 주민투표로 재건축 포기

입력 2012-12-16 22:41

서울 창동 재건축 예정지가 주민투표 결과에 따라 정비예정구역 해제 수순을 밟게 됐다. 답보상태였던 서울 뉴타운·재개발 지역 중 주민투표로 사업이 취소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시는 창동 16구역의 정비예정구역 해제 여부를 묻는 투표를 실시, 지난 14일 개표한 결과 토지 등 소유자 230표 중 사업추진 반대 의견이 106표(46%)로 집계돼 구역해제 대상구역으로 분류됐다고 16일 밝혔다. 정비예정구역 자진해제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라 주민 30% 이상이 동의하면 가능하다.

시는 그동안 추진주체가 없는 시내 재개발·재건축 사업구역 중 8곳을 우선 실태조사 구역으로 정했다. 이어 실태조사 뒤 주민들에게 추정 분담금 등 결과를 통보해 사업 추진 여부를 주민 스스로 결정토록 해 왔다. 8곳 가운데 중랑구 묵동7구역과 금천구 시흥15구역 등 2곳은 실태조사 진행 중 주민 30% 이상이 구역해제에 동의해 주민투표를 거치지 않고 자진해제가 됐다.

시는 나머지 6곳에 대해 지난 10월 29일부터 우편·방문투표 또는 현장투표를 실시한 결과 창동을 비롯해 광진구 화양동·성북구 정릉동·동작구 신대방동 등 4곳이 개표 기준 투표율 50%를 넘겨 개표가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이 가운데 창동이 가장 먼저 개표해 실태조사에 의한 정비예정구역 해제절차를 밟는 첫 사례가 됐다. 동작구는 17일, 광진구는 20일, 성북구는 22일 개표한다. 개표 결과 사업추진을 반대하는 주민이 30%를 넘지 않을 경우 사업은 계획대로 진행된다.

강동구 천호동과 은평구 증산동 등 2곳은 투표율이 50%에 미치지 못해 주민의견 청취기간이 15일 연장됐다.

정부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