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4] 전문가들이 본 ‘국정원 개입 의혹’ 등 영향

입력 2012-12-14 18:49

“판세 뒤엎을 정도 아니다… 사실 아닐땐 역풍”

선거 막바지에 터진 국가정보원 선거개입 의혹과 새누리당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미디어단장의 불법선거운동 혐의가 판세에 어떤 영향을 줄지 각 후보 진영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두 가지 돌발 변수가 강도의 차이는 있어도 유권자 표심에 일정 부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정치에 대한 혐오감을 키워 투표 의지를 약화시키거나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14일 “부분적인 영향이 있겠지만 판세를 뒤엎는 정도의 이슈는 아니다”고 말했다. 배 본부장은 “그런 네거티브 이슈들은 지지층에서는 쉽게 받아들여지지만 40대 부동층을 흔들려면 후보가 직접 관련된 내용이어야 한다”며 “제기한 의혹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명될 경우 오히려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단순 네거티브는 검증이 아닌 이전투구(泥田鬪狗)로 비쳐 투표를 하겠다는 의지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상당히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면서도 “국정원 선거개입 의혹 제기는 민주당이 잘못 건드린 측면이 있고 SNS 미디어단장이 개입된 불법 선거운동 적발도 새누리당에 악재이기 때문에 둘이 상쇄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 교수는 “네거티브라는 것이 상대에게 반박할 겨를을 주지 않으면서 내려치는 것이어서 교과서적으로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현실 정치에서는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철희 두문정치전략연구소장은 “국정원 선거개입 의혹은 유권자들에게 역대 관권 선거의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측면이 있어 의혹이 불거진 것만으로도 여권에 불리하다”며 “하지만 네거티브 공방에 나선 여야가 모두 낡은 정치로 묶여 비판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사건들이 충성도가 낮은 유권자들의 투표 여부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한 여론조사기관 관계자는 “후보를 정하지 못한 사람들이나 충성도가 약한 유권자들이 투표를 하러 갈지 말지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두 변수가 모두 SNS 공간의 댓글 달기와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젊은층 표심에 어떤 형태로든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국정원 여직원이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를 비방하는 댓글을 달았는지, 새누리당 윤모 SNS 미디어단장 등이 박근혜 후보를 위한 댓글을 작성했는지 등에 대한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입증되지 않은 각종 의혹들이 SNS 공간에서 계속 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