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선거 막바지 비방전 지나치다
입력 2012-12-15 10:08
선거 막바지 폭로·비방전이 위험수위로 치닫고 있다. 인터넷과 SNS에 후보를 악의적으로 비난하는 글들이 확산되고 있지만 양대 정당은 상대가 여론조작을 하고 있다며 비방전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
사이버 공간에는 최근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기독교에서 이단으로 규정한 신흥 종교집단 신천지의 연루설이 확산되고 있다. 박 후보가 신천지 교주에게 보냈다는 합성으로 추정되는 편지 사진까지 유포되고 있다. 새누리당은 그제 기자회견을 갖고 이런 주장이 “기독교인의 반감을 일으키려는 흑색선전”이라고 해명했고, 연루설 확산에 가세했다며 인터넷 팟캐스트 ‘나꼼수’의 김용민씨를 검찰에 고발했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여전히 퍼져나가고 있다.
SNS에는 또 박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하교시간이 오후 10시로 바뀌고, 여자도 남자와 똑같이 군대에 가야 한다는 등의 근거 없는 내용이 퍼지고 있다. 문 후보를 겨냥해서도 선거 슬로건인 ‘사람이 먼저다’가 북한 주체사상에서 나왔다거나, 선친이 인민군이었다는 악의적 비방이 횡행하고 있다.
사정이 이런데도 양당의 상호 비방전은 갈수록 가열되고 있다. 새누리당은 민주통합당 인사들도 신천지 관련 행사에 축사를 전달했다며 맞불을 놓았다. 박 후보는 국정원 선거개입 의혹과 관련해 “민주당의 터무니없는 모략으로 밝혀진다면 문 후보가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문 후보는 여당 국민소통본부 산하 SNS단장이 박 후보에게 유리한 댓글을 다는 불법 선거운동을 한 혐의로 고발된 것을 물타기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SNS는 확산력이 높은 소통수단이지만 사실확인이나 검증 기능은 없다. 사용자들이 단세포적인 퍼나르기에만 치중하다 보면 허위사실이 확산되고 무분별한 의견만 난무하게 된다. SNS를 통한 선거운동이 허용되면서 이런 위험성은 더 커졌다. 사용자들의 자정 노력이 동반되지 않고, 당국이 허위사실 유포자를 끝까지 추적해 엄벌하겠다는 의지가 없다면 ‘SNS 망국론’이 나올 판이다. 정치권은 과열된 비방전을 자제하고, SNS가 허위사실 유포의 원천이 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