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면세점 민영화 시민단체 반발 거세

입력 2012-12-13 22:22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민영화 추진에 대한 비난 여론이 일고 있다. 면세점 민영화 문제는 인천공항 민영화 수순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지만 졸속으로 추진돼 후유증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13일 인천국제공항공사 등에 따르면 인천지역 시민단체인 인천연대 소속 이광호 사무처장은 전날 오후부터 이날 오후 3시까지 운서동 공항공사 청사 1층 로비에서 ‘공항공사 면세점 민영화 즉각 중단’ 피켓을 들고 면세점 민영화 공고 취소를 요구했다.

인천연대는 전날 오후 3시 공항공사 사장과의 면담을 시도했으나 해외출장을 이유로 철회요구에 대한 답을 듣지 못해 농성에 돌입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공항공사는 지난 5일 공고한 것처럼 이날 오전 9시∼오후 2시 예정대로 전자입찰을 강행했다. 가격 입찰 대상은 2개 사업권이었다. 그러나 매장 8개 1022㎡에 대한 최저수용가능금액 연 238억원에 대해서만 1개 업체가 응찰해 유찰됐다. 매장 4개 1151㎡ 최저수용가능금액 연 283억원 규모의 사업권에 대해선 나선 업체가 1곳도 없었다.

인천공항공사는 한국관광공사의 면세점 사업권이 내년 2월 반납될 예정이어서 빠른 시일 내에 후속 사업자 선정절차를 다시 밟을 예정이다.

인천지역 시민단체들은 “면세점 민영화가 공고된 이후 공항 면세점 민영화 관련 기획재정부와 문화관광부, 청와대 등 중앙부처 간 이견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그런데도 대선을 앞두고 급박하게 면세점 입찰을 강행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시민단체들은 인천공항공사의 면세점 총매출액이 2조원에 달해 면세점이 민영화 될 경우 수익은 공익성을 잃고 기업 이익으로만 돌려질 것이라고 판단했다.

민주통합당 윤관석(인천 남동을) 의원은 “입찰기간이 일주일에 불과해 졸속 추진이 우려된다”면서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사업 매각에 대한 일체의 절차를 중단하고 차기정부에 넘겨야 한다”고 말했다. 윤 의원은 또 “차기 정부는 국익을 생각해 반드시 한국관광공사의 인천공항면세점 사업 유지를 약속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