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장거리 로켓 발사 성공] ‘北風’ 누구에게 훈풍될까… 軍 부재자 투표 관심 쏠려
입력 2012-12-12 19:16
북한의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 성공으로 18대 대통령 선거가 다시 ‘북풍(北風)’ 영향권에 들어갔다. 새누리당 박근혜,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간의 초박빙 승부가 펼쳐지고 있어 그 효과가 얼마나 될지 주목된다.
선거 전문가들은 12일 북한의 로켓 발사로 한반도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보수성향 유권자 결집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새누리당도 이번 이슈가 서해 북방한계선(NLL) 논란 등으로 불거졌던 문 후보의 대북관을 다시금 수면위로 떠오르게 하면서 자신들에게 불리하지 않을 것으로 보는 분위기다.
다만 과거 천안함 피폭이나 연평도 폭격과 달리 국민들이 느끼기에 상대적으로 간접적 사안이고 이미 수차례 핵 실험,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의 경험을 통한 ‘북풍 학습효과’가 있어 실제 지지율로 반영되는 폭은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여권이 인위적으로 이용할 경우 역풍이 불면서 야권에 유리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특히 북한 로켓 발사와 관련해 우리 정부의 대북 정보력 문제가 불거진 점이 선거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민주당은 이날 국방위원회에서 김관진 국방부 장관을 몰아세우고 논평을 쏟아내며 이명박 정부의 안보무능을 집중 부각시켰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윤희웅 조사분석실장은 “대북 정보력 문제는 여권에 불리할 소지가 있다”면서도 “야당이 현 정부의 안보 무능 때리기를 할 순 있지만 안보 이슈 자체가 야당의 지지층을 확장할 수 있는 이슈는 아니기 때문에 큰 변수가 안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보수와 진보 양측이 모두 팽팽하게 결집돼 있는 상황이어서 미풍에 그칠 것이란 분석도 있다. 리서치앤리서치 배종찬 본부장은 “이미 누구에게 표를 줄지 결정한 사람이 대부분이고 남아 있는 부동층은 남북관계 등 대북 이슈를 기준으로 지지후보를 결정하진 않을 것”이라며 “향후 캠페인 과정에서 두 후보의 대응이 중요하지만 워낙 민감한 이슈라 두 후보 모두 핵심으로 부각시키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단 13∼14일 실시되는 부재자 투표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전체 부재자 투표자 108만6687명 중 군인·경찰 공무원 유권자는 56만8737명에 달한다. 글로벌리서치 지용근 대표는 “군인들은 남북 대치 정국에 부담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반(反)보수 성향이 더 강해질 수 있다”며 “대체로 북풍은 여당에 유리할 수 있다고 하지만 실제 표로 연결되는 결과는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