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짝퉁’ 천지 만들어놓고 관광객 부를 수 있나

입력 2012-12-12 19:36

우리나라는 올해 외국인 관광객이 1000만명을 넘어 관광대국으로 가는 기틀을 다졌지만 여전히 ‘짝퉁코리아’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가 지난 7월부터 외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 명동 관광특구, 남대문시장, 동대문 패션관광특구, 이태원 등을 대상으로 위조상품 판매행위를 집중 단속한 결과 2만7497점의 짝퉁을 적발했다. 정품 시가로 따지면 161억8900만원에 달한다.

한국인들의 명품 사랑은 유별나다. 컨설팅회사인 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명품시장은 2006년 이후 매년 12%씩 고속 성장해 연간 45억 달러(약 4조8000억원)에 달한다. 가계소득에서 명품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5%로 일본의 4%보다 높다. 불황에도 주요 백화점의 지난달 해외명품 매출은 두자릿수 성장을 했다.

문제는 비뚤어진 명품 선호다. 과시욕 때문에 자신의 소득수준을 넘어서는 수백만, 수천만원짜리 고가 상품들을 구매하고 여자친구에게 명품 가방을 안겨주기 위해 신장까지 떼내 파는 세상이다. 빗나간 명품 사랑이 빚어낸 것이 짝퉁 문화다. 암시장 전문조사 사이트 하보스코프닷컴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짝퉁시장 규모는 연간 140억 달러(약 15조원)에 달하며 세계 10위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관세청에 적발된 위조명품은 1조원에 육박한다.

짝퉁 제조와 유통수법은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 대형 물류창고에 제품을 보관하며 낮에는 일반 상품을 만들고, 밤에는 짝퉁 가방을 만드는 기업형 조직이 적발되는가 하면 최근에는 가정주부와 옷장사를 하던 골목 상인이 짝퉁 명품을 판매하다 들통나 충격을 줬다.

남의 상표권을 도용하는 것은 명백한 범죄행위다. 그런데도 위조품을 만드는 사람이나 사는 사람이나 아무런 죄의식이 없다. 짝퉁 제품이 범람하게 되면 기업들의 개발의지를 꺾고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신뢰가 깨지게 된다. 또한 국가이미지를 훼손하는 것은 물론 외국 관광객들의 신뢰를 잃게 된다. ‘짝퉁천국’ 오명을 벗으려면 소비자들도 위조품을 구입하지 않으려는 성숙한 자세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