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8] “다음 정부서 어떤 임명직도 안 맡겠다”… 安, 차기 내각 불참 선언 왜?
입력 2012-12-11 00:49
무소속 안철수 전 대통령 후보는 10일 “다음 정부에서 어떤 임명직도 맡지 않겠다”고 말했다. 자신이 내세운 ‘새 정치’를 위해 기득권을 내려놓는 차원에서 차기 내각 불참을 선언한 것이다. 전날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밝힌 대통합 내각 구상을 새누리당이 권력 나눠먹기라고 비판하자 이를 불식시키려는 의도도 담겨 있다.
문 후보 지원 유세를 위해 호남을 찾은 그는 전주 전북대 실내체육관 앞에서 시민들과 만나 “새 정치를 위한 대국민 약속을 하신 문 후보를 믿고 아무 조건 없이 도와드리기로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치개혁은 기득권을 내려놓는 게 필수”라고도 했다. 오후 3시 광주 광천동 유스퀘어광장에서도 같은 내용을 언급했다.
이 발언으로 그는 그간 끊임없이 제기돼온 ‘문통·안총(문재인 대통령·안철수 총리)’ 공동정부가 결코 현실화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유민영 대변인도 기자들과 만나 “백의종군의 연장선에 있는 발언이며 내각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안 전 후보 지지층까지 아우르겠다는 문 후보의 거국내각 구상에 대한 불편한 심기가 녹아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안 전 후보가 문 후보 지원의 대가를 바라지 않으며 오직 ‘새 정치’를 추구하고 있음을 다시 부각시켜 입지를 다지려는 의도로 보인다. 민주당에 기득권 포기를 촉구하는 측면도 있다. 정치쇄신을 강조해 안 전 후보를 지지하다 부동층으로 돌아선 유권자들의 투표율을 올리려는 전략이란 관측 역시 나온다.
하지만 캠프에서는 임명직이 아닌 선출직, 당 대표나 국회의원 같은 자리에는 나서겠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정부의 국무총리, 장관 등을 맡지는 않겠지만 문 후보가 전날 시사한 신당 창당 과정에서 역할을 하겠다는 뜻이란 얘기다. 캠프 관계자는 “안 전 후보가 후보직 사퇴 전 ‘국회의원을 해봤다면 더 좋았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나타냈고 정당 혐오주의자도 아니다. 그렇다면 임명직이 아닌 ‘당직’이나 ‘국회의원직’에는 도전할 생각이 있는 것”이라고 했다.
오후 1시부터 30분간 진행된 전주 유세 현장에는 대학생 등 2000여명이 몰렸다. 안 전 후보는 크리스마스트리 장식품으로 만든 기표용구 모형을 들고 투표 참여를 독려했다. 문 후보 지지에 나선 뒤 처음으로 마이크를 사용하는 등 적극성을 보였다. 캠프 관계자는 “안 전 후보는 선거사무원으로 등록하지 않았지만 허영 수행팀장 등 참모진이 등록했기 때문에 문제될 게 없다”고 설명했다. 안 전 후보는 11일 고려대 이화여대 건국대 등 서울 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20대 표심 잡기에 나선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