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9] “대선 승리후 범야권 신당창당”… 文 정치·정책 공약 맞불

입력 2012-12-09 23:28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는 9일 발표한 공약집 ‘문재인의 국민약속 119’를 통해 ‘대통합 내각 구성’ 등 강력한 정치 쇄신 의지를 드러냈다. 특히 문 후보는 대통합 내각을 뒷받침할 정치 주체로 ‘국민정당’ 카드를 빼들었다. 범야권 신당 창당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의원정수 축소 등 무소속 안철수 전 대통령 후보가 주장했던 공약들도 곳곳에 포함시켰다.

문 후보는 서울 영등포 당사 기자회견에서 “새로운 정치질서를 만들기 위해 그 어떤 기득권도 기꺼이 던지겠다”면서 “국민연대가 인수위원회 단계부터 모든 법과 제도를 준비하고 혁신하는 주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국민정당이 새로운 대한민국의 새로운 정치 주체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새 정치와 정권 교체를 명분으로 안 전 후보 등 중도·진보 세력(국민연대)을 하나로 묶어 대선에서 승리하고, 이후 신당(국민정당)을 창당해 정치판을 새로 짜겠다는 뜻이다.

문 후보가 구상 중인 ‘시민의 정부’가 초당파적 ‘대통합 내각’과 중도·진보적 ‘국민정당’의 양대 축으로 운영될 것임을 시사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우상호 공보단장은 “필요하다면 신당 창당까지 열어놓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라며 “직선제 이후 지난 25년간의 정부 운영, 정치 행태와 문화를 뜯어고치려는 근본적인 혁신구상”이라고 설명했다. 문 후보 측이 공개적으로 신당 창당을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대통합 내각과 국민정당을 통해 막판 대선 정국을 주도하고 반(反)박근혜 세력의 총결집을 이끌어내겠다는 문 후보의 강력한 의지로도 풀이된다. 새 정치 욕구가 강해 ‘안철수 부동층’으로 불리는 중도·무당파를 흡수하기 위한 포석도 깔렸다.

문 후보는 또 국회의원 정수와 관련해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석배분을 2대 1로 조정하고 정수 축소 문제도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석비율을 ‘조정’한다는 입장에서 벗어나 안 전 후보가 요구한 ‘정수 축소’ 입장을 수용한다는 의지를 분명하게 드러낸 대목이다. 안 전 후보의 공약이었던 국회 내 회계감사처 신설도 추진키로 했다.

10대 핵심 정책과제로는 ‘만나바’(만들고 나누고 바꾸고) 일자리 혁명, 경제민주화, 복지국가와 성평등 사회, 정치 혁신 및 검찰 개혁, 남북경제협력과 균형외교, 지방분권, 혁신경제 등을 제시했다. 문 후보 측은 재정·복지·조세개혁을 통해 공약 실현에 필요한 재원 38조5000억원을 마련키로 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