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계, 의욕적으로 추진 ‘대선후보 토론회’ 무산 왜?

입력 2012-12-06 20:46

대선을 앞두고 기독교계가 추진 중인 대선후보 초청 토론 및 대화 모임이 무산됐다. 기독교 관련 정책에 대한 후보들의 관심이 미흡하다는 지적과 함께 교계가 충분한 준비나 협의 없이 너무 성급하게 후보초청 행사를 추진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한국교회연합과 한국장로교총연합회,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등 5개 교계 단체로 구성된 ‘한국교회 대선후보 정책토론준비위원회’는 6일 “당초 이번 주로 예정돼 있던 대선후보 초청 토론회가 후보 측 일정 등 사정 때문에 개최가 어렵게 됐다”고 밝혔다. 토론준비위는 기독교 정책에 대한 각 후보 측 답변서를 받는 형식으로 토론회를 대신하기로 했다.

뉴라이트 기독교연합이 7일 개최키로 한 ‘대선후보 초청 행사’ 역시 잠정 연기됐다. 주최 측은 이날 행사에서 기독교 관련 정책에 대한 대선후보들의 견해를 직접 듣는 자리를 마련할 예정이었다. 송성익 사무총장은 “기독교 정책 분야에 대한 질의서를 대선후보 측에 보냈으나 답변이 늦어지면서 부득이 일정을 변경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대선후보가 참여한다고 했던 교계 행사가 잇따라 무산되자 교계 안팎에선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우선 대선후보 측에서 몸을 너무 사리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적지 않다. 교회 대선토론준비위 관계자는 “다른 분야에 비해 종교가 상당히 민감한 분야이기 때문에 만에 하나 발언 중에 실수가 있을까봐 토론 형식의 행사는 꺼리는 것 같다”고 말했다. 타 종단들의 이해관계까지 고려해야 하는 부담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교계가 과욕을 부려 너무 성급하게 추진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후보 측과 협의 없이 행사 일정부터 잡아놓고 공지한 다음 참석을 압박했다는 것이다. 너무 많은 교계 단체가 후보초청을 추진, 힘이 분산됐다는 비판도 면하기 힘들다. 성격이 다른 단체들이 우후죽순으로 후보 초청에 나서면서 ‘세과시용’으로 비쳐 후보들이 참여를 꺼린다는 것이다. 한 대선후보 캠프에 따르면 투표일 전까지 후보의 참석을 요청한 기독교계 행사만 10여건에 달한다. 타 종단의 경우 촉박한 선거유세 일정을 감안해 후보 초청을 가급적 자제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기독교윤리실천운동 조제호 사무처장은 “후보초청 토론회가 무산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교계 내의 연합과 양보, 조율이 미흡했던 것으로 드러난 데 대해서는 자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재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