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에 대선후보 공약 거론… 신선? 용감?
입력 2012-12-05 18:38
“태양광 산업은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산업입니다. 대선 후보들의 공약을 보면 전반적인 업황 개선에 우호적인 환경이 제공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4일 태양광 인버터 제조업체인 한솔테크닉스가 증권신고서를 공시하며 박근혜·문재인 대선 후보의 미래 에너지관(觀)을 서술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 업체는 원전 증설 및 가동 연장 여부, 재생에너지 확대 전략, 전기료 인상 필요성 등 3가지 항목에 대한 두 후보의 태도를 표로 정리해 공시했다. 상장사가 대선 후보의 정책공약을 분석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로 투자자들에게 공표하기는 처음이다.
한솔테크닉스는 태양광 산업에 참여하는 기업 입장에서 두 후보가 원가 절감 부담이 커지는 의무할당제도(RPS)에 의존하지 않고, 발전차액지원제도(FIT)를 확대하거나 병행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박 후보는 내년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을 수립할 때 재생에너지 확대 목표 수치를 결정할 것이고, 문 후보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로 확대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한솔테크닉스는 두 후보가 현행 전기료 요금체계에 대해서도 개편 필요성을 언급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솔테크닉스는 투자자들에게 위험 부담도 충분히 설명했다. “지원정책의 본격적인 시행까지 정책적 불확실성이 있고, 향후 불리한 방향으로 정책 변화가 일어나면 당사의 영업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솔직한 단서조항을 달았다.
증권가는 신선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대선 후보의 정책공약을 토대로 산업동향을 설명하고, 위험 부담까지 가감 없이 제시한 점을 높게 평가했다.
증권가에서는 “자칫하면 대선 관련주로 묶일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왔지만, 5일 한솔테크닉스 주가가 상승하자 “성실한 공시를 눈여겨본 투자자들이 있는 것 같다”는 우호적 해석을 내놓고 있다.
한솔테크닉스 관계자는 “어떤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느냐에 따라 영업성과가 부정적일 수도 있고, 그에 따라 내부적으로 영업정책이 바뀔 수도 있는 것”이라며 “투자자들에게 제반 상황을 제대로 전달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