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난 사고 위장·허위 실종 신고 등 해상 보험사기 4년간 1000억
입력 2012-12-05 18:36
2010년 9월 낡은 배를 해난 사고로 고장 난 것처럼 속여 보험금 5억원을 챙긴 해운업체 대표 5명이 해양경찰에 적발됐다. 지난해 4월에는 선주가 고쳐달라고 맡긴 배를 더 망가뜨린 뒤 수리 내역을 부풀려 보험금 11억원을 타낸 정비업체 대표가 붙잡혔다. 최근에는 가족이 바다에서 실종됐다고 속여 보험금을 챙기는 사례가 속출하는 등 보험사기가 바다에서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5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와 현대해상, 동부화재 등 손보사들이 2009년부터 올해까지 해상 보험사기에 속아 보상한 돈이 1000억원을 넘는 것으로 추산됐다.
주로 어업·해운업 종사자들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장기불황으로 생계가 어려워지자 대거 보험사기를 벌인 탓으로 분석된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해상 물동량이 줄어들면서 해운·조선업계가 장기 침체에 빠지자 해상보험 관련 사기가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바다에서는 허위 실종이나 해난 사고 위장 등 방법이 주로 동원된다. 2009년 6월 울산 해경은 조업 중 다친 것처럼 사고경위서를 꾸며 치료비, 휴업 급여 등 보험금 5000여만원을 받은 선원과 병원 관계자 20명을 검거했다. 같은 해 4월에는 항해 중인 배의 기관실에 산소용접기로 불을 지른 뒤 단순 화재로 위장해 보험금 36억원을 청구한 기관장 등 2명을 붙잡았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해상 보험사기가 증가하는 추세를 감안해 각 손보사마다 보험범죄특별조사팀(SIU)에 해경 출신 인력을 채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해경 수사관만 참여하는 보험범죄 아카데미를 신설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창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