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수매가격 올려라” 농민들 뿔났다… 잇따라 시위

입력 2012-12-05 18:34

벼 수매가 본격 시작되면서 정부와 농협의 수매가격에 반발하는 농민들이 거리로 나서고 있다.

충북 진천군농민단체협의회 100여명은 5일 군청 광장에서 집회를 열고 진천군과 군의회에 주요 농산물 가격안정기금 조례 제정, 농업 예산 20% 이상 확충, 한미·한중 자유무욕협정(FTA) 중단 대정부 결의안 채택을 촉구했다.

농민들은 진천농협 미곡종합처리장(RPC)으로 이동해 벼 수매가(40㎏ 조곡 기준) 6만5000원 이상 보장, RPC의 투명 경영, 벼 수매가 결정 때 농업인 참여 등을 요구했다.

진천 RPC의 올해 수매가는 지난해보다 3000원이 오른 5만9000원이다. 하지만 농민들의 인상 요구수준을 외면해 농민들이 집단 반발하고 있다.

진천농협 RPC 관계자는 “농민들이 요구한 수매가로 결정되면 소비자 판매가격을 최소한 3000원 이상 올려야 한다”며 “이미 2개월 전에 결정된 수매가를 조정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앞서 충북 청원과 보은에서도 농민들이 대형 쌀 포대를 RPC 입구에 쌓아 놓고 수매작업을 저지하기도 했다. 청원농협 RPC의 벼 수매가는 5만6000원으로 지역농민들이 원하는 7만원에 못 미쳤다.

농민들은 공공비축용 수매도 현실성이 떨어진다. 정부 수매가격은 현재 조곡 기준으로 40㎏ 한 가마가 4만9000원으로 시중가격보다 8000원 정도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규영 진천농민회 사무국장은 “올해 잇단 태풍 등으로 쌀 생산량이 20% 정도 줄었고 물가와 원자재 상승 등을 감안하면 수매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며 “백미 80㎏의 생산원가가 22만원인데 시세는 18만원 수준이라 농민들이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다”고 전했다.

충청·강원지역 농민들은 오는 10일 공공비축미 제도 폐지와 기초농산물 국가수매제 등을 촉구하며 청와대 농축산물 반납투쟁을 벌이겠다는 입장이다.

전기환 강원농민회장은 “올해 전국 농민들이 벼농사를 망쳐 가격이 상승해야 하는데도 정부가 나서서 가격을 조절해 농민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면서 “현재 정부가 공공비축미만 수매하는데 농민들을 위해 기초농산물 전체로 수매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