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국제사회 천덕꾸러기 되나

입력 2012-12-04 19:08

이스라엘이 국제사회의 맹비난 속에서도 과거 정착촌 건설 계획까지 다시 꺼내드는 등 ‘독불장군식 행보’를 계속하고 있다. 가장 강력한 우방 미국까지 비난 대열에 동참했는데도 아랑곳하지 않는 강경한 태도다.

이스라엘 정부는 3일(현지시간) 동예루살렘에 정착촌 주택 1600채를 짓는 방안을 다시 추진한다고 밝혔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3년 전 발표된 이 계획은 미국과의 외교 갈등 끝에 사실상 폐기됐던 것이다. 이스라엘은 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이 ‘비회원 옵서버 국가’로 승격된 지 하루 만인 지난달 30일 동예루살렘과 요르단강 서안에 주택 3000채 건설을 승인하는 보복조치를 꺼내 비난을 받자 이미 폐기됐던 강경조치까지 추가로 들고 나왔다.

국제사회는 다각적인 이스라엘 압박에 나섰다. 유엔 총회는 이스라엘에 핵시설 공개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고,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정착촌 건설 계획을 강력 비난했다.

유엔 총회 결의는 이스라엘이 핵무기 비확산조약(NPT)에 가입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핵시설 조사에도 협조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찬성 174표, 반대 6표, 기권 6표의 압도적 지지였다. 유엔 총회 결의는 안보리 결의와 달리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국제사회 의견을 반영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강력 경고했다.

앞서 영국 프랑스 스페인 스웨덴 덴마크 유럽 5개국 정부는 이스라엘 대사를 불러들여 경고했다. 미국도 정착촌 건설이 이·팔 간 평화회담 재개에 해가 된다고 강도 높게 비난했다.

그러나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유엔 총회의 (팔레스타인 지위 격상) 결정을 거부한다”며 “정착촌 건설이라는 우리 결정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고집을 꺾지 않았다.

박유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