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지역 화장률 51.9% ‘16개 시도 중 꼴찌’
입력 2012-12-03 19:22
전남지역 화장률이 ‘전국 꼴찌’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화장시설의 전남 동부권 집중 현상도 심각해 화장장의 지역안배와 친환경적 장묘문화에 대한 인식전환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전남도는 3일 “지난해 전남지역 22개 시군의 화장률이 51.9%로 전통적 장묘방식인 매장률을 앞질렀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는 전국의 화장률 71.1%에 크게 밑도는 것으로 16개 시도 가운데 최하위 수준이다. 전남의 화장률이 낮은 것은 우선 화장장이 대표적 혐오시설로 인식돼 시설이 건립되지 못한 데서 비롯된다. 따라서 인구에 비해서나 다른 시도에 비해 화장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전남지역에는 현재 여수·순천·광양·목포 등 4개 시와 고흥 소록도 등 5곳에 14개 화장로가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전남지역보다 인구가 적은 강원지역에도 현재 6곳의 화장장이 있다. 경북 10곳, 경남 7곳 등이 설치돼 있다.
전남지역 화장장이 대부분 동부권에 몰려 있는 점도 문제다. 목포를 제외한 4곳의 화장장이 동부권에 치중돼 장성, 화순, 영광, 함평, 화순, 나주, 영암 등지의 주민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리적으로 멀고, 같은 지자체 주민이 아닌 탓에 1인당 최고 5∼9배 비싼 비용이 부과돼도 광주지역 영락공원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실정이 이런데도 전남지역 화장시설 추가 설치는 여의치 않다. 전남도는 도비와 국비로 공사비 70%를 지원한다는 ‘당근’책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민선 시장·군수가 주민들이 꺼려하는 화장장 유치에 앞장서기가 쉽지 않아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일부 지자체의 화장장 설치사업이 아예 무산되거나 노후 화장시설의 개·보수 작업이 주민들의 반대로 차질을 빚기도 했다.
전남도 관계자는 “장기적 관점에서 장묘시설의 서부권 안배와 추가 설치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보건복지부가 2017년까지 전국 13곳에 권역별 화장장을 만들고 40개 시군에는 공설 봉안시설을 설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안=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