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검사 비리… 매형 로펌에 사건 알선 혐의

입력 2012-12-04 00:26

대검찰청 감찰본부는 3일 서울중앙지검 강력부 소속 박모(38) 검사가 자신이 수사한 사건을 매형 김모 변호사가 근무하는 H법무법인에 알선한 혐의를 포착하고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박 검사가 알선대가로 금품 1억원을 수수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확인 중이다. 검찰 관계자는 “박 검사가 매형에게 사건 관계자를 소개한 사실을 확인했고, 이 대가로 돈을 받았는지는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감찰본부는 박 검사와 김 변호사 명의의 금융기관 계좌추적 영장을 발부받아 4일부터 계좌 입·출금 내역을 본격적으로 추적할 방침이다.

감찰본부는 앞서 이날 오전 박 검사의 서초동 사무실과 자동차, 역삼동 H법무법인 사무실 등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감찰본부는 이번주 중 김 변호사와 박 검사를 차례로 불러 이 같은 의혹에 대해 조사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감찰본부는 지난달 중순 관련 첩보를 입수해 박 검사에 대한 감찰을 벌이다 2일 수사로 전환하고 압수영장을 청구했다.

박 검사는 지난해 2월 마약류로 지정된 프로포폴 수사 전문가로 평가받아 왔다. 그는 2010년 9월 수면마취제인 프로포폴을 영리 목적으로 환자들에게 투여한 혐의(의료법 위반)로 성형외과 병원장 우모씨 등 2명을 구속 기소하고, 김모씨 등 5명을 불구속 기소했다. 박 검사는 이 중 프로포폴을 598차례 투여해 1억5000여만원을 챙긴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김씨를 H법무법인에 소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직 검사의 사무실에 대한 검찰의 압수수색은 지난달 서울고검 김광준 부장검사와 성추문을 일으킨 전모 검사에 이어 최근 한 달 사이에만 세 번째다. 수사나 감찰을 받고 있는 현직 검사는 ‘문자 논란’의 윤대해 검사, ‘편파 수사’ 진정이 제기된 광주지검의 강모 검사, 최재경 중앙수사부장까지 모두 6명이다.

검찰은 잇단 현직 검사들의 비리 의혹이 불거지자 패닉 상태에 빠졌다. 서울중앙지검의 한 평검사는 “도대체 어디서부터 바로 잡아야 하는 건지 혼란스럽기만 하다”고 했고, 재경지검의 부부장급 검사는 “할 말이 없다. 다같이 죄인이 된 심정일 뿐”이라고 토로했다.

감찰본부의 수사가 언제든 닥칠 수 있다는 두려움도 감지된다. 수도권의 한 부장검사는 “현재 몰아치는 분위기로 보면 나도 어느 날 감찰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느낌도 든다”고 말했다.

검찰의 상시 감찰 기조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대검 한 고위간부는 “검찰 수뇌부는 지금 아프더라도 환부를 도려내 조직의 기강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보고 있다”며 “사소한 첩보라도 들어오면 반드시 확인해 조치할 것”이라고 전했다. 검찰 내부에서는 감찰본부가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수준이라는 말도 나온다.

강주화 전웅빈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