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19] 朴캠프 ‘文+盧’ 이래서… “노무현 시즌 2 안돼” 부정적 이미지 부각

입력 2012-11-29 19:25


‘심판론 대선’ 상대 아킬레스건 공격… 유불리 분석

새누리당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대통령이 될 경우 ‘노무현 시즌2’가 될 것이라며 노무현 정부 실패론을 대선전 전면에 내세웠다. 박근혜 후보도 문 후보를 실패한 정권의 최고 핵심 실세라고 거세게 몰아붙였다.

노무현 정부 실패론은 민주통합당의 이명박 정권 심판론에 대한 맞대응 차원으로, 문 후보에게 친노(親盧·친노무현계)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덧씌우려는 전략이 깔려 있다.

안형환 중앙선대위 대변인은 29일 브리핑에서 “노무현 정권을 담당했던 분들이 다시 전면에 나서 노무현 정권 속편, 노무현 정권 시즌2를 만들겠다고 한 만큼 이번 선거는 두 번째 노무현 정권 심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해진 대변인도 라디오 방송에서 “냉정하게 바라보면 국민들은 노무현 정권 5년을 기억하고 싶지 않은 실패한 모습으로 여긴다”면서 “당시 2인자였던 문 후보가 대통령 비서실장으로서도 성공하지 못했는데 대통령을 하겠다고 하니 의아해하는 시각이 있다”고 꼬집었다.

새누리당은 문 후보의 ‘서민 대통령’ 캠페인에 대한 물타기 전략 차원에서 노무현 정부 시절의 양극화 심화와 서민 살림살이가 힘들어졌던 점을 부각시켰다. 이한구 원내대표는 “노무현 정부는 서민을 위한 정부가 되겠다 했으나 오히려 서민생활은 더 악화됐다”면서 소득5분위 배율(상위 20%의 소득을 하위 20%로 나눈 배율) 악화, 서민 물가 급등, 소득불평등(지니계수) 악화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

또 국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었던 대학등록금 상승, 부동산 가격 급등, 세금 폭탄 등을 거론하며 부정적인 기억을 되살리는 데 안간힘을 썼다. 이상일 대변인은 “노무현 정권에서 국민 1인당 세금부담액은 2002년 평균 300만원에서 2007년 평균 434만원으로 무려 44.7%나 증가했다”며 “당시 도시 근로자는 물론 저소득층마저 100만원을 벌면 15만원의 세금을 내야 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입장에서는 4·11 총선 당시 민주당이 정권심판론을 내세웠으나 크게 성공하지 못한 것도 자신감을 갖게 하는 요인이다.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정권심판론이 지속되는 것을 부담스러워하는 측면도 있다.

여론조사에서 정권교체 지수가 50%를 넘기 때문이다.

선대위 핵심관계자는 “박정희 대 노무현 프레임은 괜찮지만 정권심판론은 좀 부담스러운 면이 있다”며 “저쪽이 이명박 정권 실정을 계속 거론하면 일일이 대응하기보다 잘못된 것은 바로잡겠다는 식으로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연장선에서 이명박 정부와 정책적으로 차별화하면서 박근혜의 인물론을 내세우겠다는 계산이다. 선대위 관계자는 “우리는 현 정권과 결별할 생각이 없다. 여당 속 야당이었다는 것은 국민이 다 알고 있다”며 “현 정부가 잘한 것은 이어받아 2기 정부로 가되, 인물 면에서 박 후보가 MB(이명박 대통령)와 다르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