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명룡 목사의 기독교, 안티에 답한다] ‘기독교는 인간 예수를 신으로 믿고 있다?’

입력 2012-11-29 17:39


‘기독교는 인간 예수를 신으로 믿고 있다?’

안티들의 도전: “Q자료에 의하면 인간 예수가 진짜 예수의 모습이다.”

“예수는 신적 존재가 아니라 지혜자요 인간일 뿐이다.”

“기독교는 인간 예수를 신적 존재로 잘못 믿고 있다.”

예수는 지혜로운 한 인간일 뿐? Q자료에도 신적 속성 고스란히


기독교를 반대하는 안티들 중에는 예수님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그들은 예수님의 진짜 모습은 인간에 불과하며, 지혜로운 교사였을 뿐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안티들의 주장을 좀 더 학문적으로 세련되게 포장한 사람이 도올 김용옥 교수이다. 도올은 그가 쓴 ‘큐(Q)복음서’를 통하여 역사적 예수의 모습은 지혜자, 인간 예수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2008년 모 신학대학에서 ‘큐복음서와 한국교회’라는 심포지엄이 있었다. 이 심포지엄에서 도올은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다. 큐복음서가 예수의 말씀을 담은 최초의 어록이기 때문에 한국교회는 큐복음서의 메시지에 귀 기울여야 한다. 큐복음서는 예수의 부활에 대하여 일절 언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부활 신앙은 버려야 한다. 그리고 진짜 예수의 모습은 인간 예수이다. 이것이 그 발제의 기본 내용이었다.

여기서 도올은 예수가 지혜로운 한 인간일 뿐이라는 주장의 근거를 Q자료와 도마복음서에 두고 있다. 그는 Q자료를 근거해 볼 때 지혜자인 예수의 가르침으로 시작된 예수교가 인간 예수를 신적 존재로 섬기는 기독교로 변질되었다고 거침없이 주장하였다.

그렇다면 과연 Q자료에 근거하여 역사적 예수의 모습을 ‘인간 예수’로만 규정할 수 있겠는가? 그렇지 않다. 도올의 주장은 타당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필자는 본 지면을 통해 Q자료와 관련된 도올과 안티들의 잘못된 주장에 반론을 제기하고자 한다.

우선 Q자료란 무엇인가? Q란 ‘자료(source)’를 뜻하는 독일어 ‘크벨레(Quelle)’의 첫 글자에서 따온 말이다. Q자료는 마가복음에는 없지만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 공통적으로 나오는 예수님의 말씀들(sayings·어록)을 말한다. 쉽게 말해서 요즘 성경책의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 보면 빨간 글씨로 예수의 말씀이 표시되어 있는데, 그중에서 서로 겹치는 말씀을 Q자료라고 부른다. 이 어록들은 예수님의 말씀을 직접 들은 사람들의 기억과 메모에 의해 전달되었다가 성경에 기록되었다고 보는 하나의 가설이다. 도올의 주장처럼 Q자료가 큐복음서 형태로 존재했다는 것은 상상력에 근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Q자료만이 예수의 진정한 말씀이요 예수의 참 모습을 알려주고 있는가? 도올은 그의 책 ‘큐복음서’를 통해 Q자료만이 예수의 진정한 모습을 알려주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Q자료에는 예수의 동정녀 탄생, 이적 행함, 죽음 그리고 부활 등의 사건들이 빠져 있기 때문에 그 사건들은 신화적 이야기일 뿐이며, 실제 예수의 모습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실제 예수는 어떠한 기적도 일으키지 않았고, 신적인 구원자도 아닌 한 인간일 뿐이요 지혜자라고 말한다.

그러나 어록만으로 역사적 인물에 대한 정체성을 온전히 파악하기는 힘들다. 사실 한 사람의 역사적 인물에 대한 평가는 그의 어록뿐만 아니라 그를 경험한 목격자들의 증언을 참조할 때 더욱 올바른 평가를 내릴 수 있다. 다시 말해 예수의 정체성은 그분의 말씀과 더불어 그 말씀의 정황을 알려주는 사복음서의 내러티브(기적, 수난, 부활을 포함한 이야기)를 함께 살펴볼 때 훨씬 더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올은 Q자료에 관한 자신의 주장을 스스로 부정하고 있다. 예컨대 도올은 그의 책 ‘큐복음서’에서 “Q야말로 진정한 예수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도올이 쓴 ‘기독교성서의 이해’에서는 예수의 어록에서는 예수의 정체성을 파악할 수 없다고 밝힌다. 그는 “어록의 말씀은 역사적, 상황적, 감정적 맥락이 단절된 단편적인 것이었다. 그런 것은 아무리 들어도 포괄적이고 전체적인 한 인간에 대한 심상이 떠오르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비록 그가 ‘큐복음서’에서는 예수의 어록만이 진정한 모습을 보여준다고 주장했지만, ‘기독교성서의 이해’에서는 어록을 통해서 예수의 진정한 모습을 알 수 없다는 상반된 주장을 펼친다. 도올은 예수뿐만 아니라 공자의 경우에서도 그의 어록 ‘논어’를 통해서 공자의 진정한 모습을 알기 힘들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보아, Q자료만으로 예수의 정체성을 온전히 알 수 없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올의 주장과는 달리 우리는 Q자료를 통해 인간 예수뿐만 아니라 신적인 예수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 예로 첫째, 예수가 광야에서 사탄에 의해 시험을 받는 장면(눅 4:3∼12)에서 예수는 인간 예수뿐만 아니라 신적 권능을 가진 하나님의 아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예수는 자신을 ‘하나님의 아들’로 분명히 인식하면서 하나님과 특별한 관계에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눅 10:21∼24). 셋째, 실제로 예수는 병 고침의 이적을 행하셨다(눅 7:2∼10). 넷째, 예수는 자신의 권능으로 귀신을 축출하는 이적을 보이셨다(눅 11:14∼18). 다섯째, 예수는 세례 요한과 그 제자들의 질문에 자신의 사역이 메시아 사역임을 밝혔다(눅 7:18∼23). 여섯째, 종말의 날에 예수 자신이 인자로서 심판자 되심을 선포하였다(눅 12:39∼46; 17:23∼24).

Q자료에 나타난 이러한 예수의 신적 속성들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 주는가? 예수에 관한 초기 자료들은 예수님이 단순히 한 인간이었을 뿐만 아니라 신성을 가진 초자연적인 존재였음을 알려주고 있다. 결국 Q자료는 도올의 주장과는 달리 예수의 인성과 신성 모두를 알려주고 있다. 따라서 예수님은 인간으로 오신 하나님의 아들이셨다!

지금 우리가 믿고 있는 예수님이 참된 예수님의 모습이다. 지금 우리가 믿고 있는 예수의 복음이 참된 진리이다. 세상의 수많은 유혹에 흔들리지 말고 오늘도 예수 제자의 삶을 당당히 살아가자. 그 길 끝에서 우리를 반기시는 주님을 생각하면서.

(서울 큰나무교회· 기독교 변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