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 현실로… ‘빅 데이터’로 범죄·재해 예측
입력 2012-11-28 19:00
내년부터 범죄 발생 시간과 장소를 예측하고 자연재해를 조기 감지하는 데 ‘빅 데이터(Big Data)’가 활용된다.
대통령 소속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는 28일 청와대에서 열린 회의에서 ‘스마트 국가 구현을 위한 빅 데이터 마스터플랜 및 플랫폼 기반 미래 전자정부 방안’을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빅 데이터는 크기가 너무 커 컴퓨터의 기존 데이터베이스로는 수집·저장·검색·정형화 등이 어려운 방대한 정보다. 관련 분석기술 발달 정도에 따라 복잡해진 현대사회를 과거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 쓰일 수 있다.
정부는 최근 스마트폰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빅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 2017년까지 분석기술 개발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일단 범죄와 자연재해 예측에 빅 데이터를 활용키로 하고 올해 말 연구용역을 의뢰하는 한편 경찰청 범죄이력, 인구통계, 날씨 등의 자료를 통합해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내년 하반기에 구축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탈세 방지, 맞춤형 복지 제공, 민원 데이터 분석을 통한 정책 수립, 음란물 유통 차단 등에도 빅 데이터를 활용키로 했다. 또 대학에 빅 데이터 과목을 개설하고 산·학·연 공동 연구개발 사업도 지원해 전문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공공 데이터 개방 활성화를 골자로 관계 법령을 개정하고 개인 정보보호 대책도 마련할 예정이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