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20] ‘입’ 풀린 SNS, 대선 판도 흔든다… 선거운동 첫 허용
입력 2012-11-28 22:31
제18대 대통령 선거 초반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소셜네크워크서비스(SNS) 공간이 여야 후보들로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지난해 말 헌법재판소 결정으로 이번 대선에서 처음으로 SNS 등 인터넷을 이용한 상시적인 선거운동이 허용됐기 때문이다.
SNS는 쉽고 빠르게 콘텐츠를 전파할 수 있어 전국 단위 선거에서 큰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하지만 SNS는 양날의 칼이다. 인증샷 등을 통해 투표율을 높일 수 있고 후보의 정확한 메시지나 긍정적인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다. 반면 허위사실 유포나 흑색비방의 온상이 될 수도 있다. 특히 후보의 말실수 등이 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알려지면 부정적인 여론을 급속히 확산시키는 역기능을 초래한다. 지난 4·11 총선 당시 민주통합당 김용민 후보의 막말사건은 트위터로 속속 생중계되다시피 하면서 민주당의 총선참패 원인이 되기도 했다.
특히 SNS는 20·30대 젊은층은 물론 40대에서도 사용자 비율이 높아 의제 설정과 여론 확산, 투표율 등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SNS를 활용한 정치홍보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4월 총선 때 20대의 SNS 사용자는 71.4%였고 캐스팅 보트를 쥐고 있는 40대 비율도 43.2%에 달했다. 한국정치학회와 한국리서치가 지난 4월 조사한 결과 SNS를 통해 선거나 후보자 관련 정보를 습득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55%에 달했다.
중앙선관위는 선거일 하루 전까지 트위터에 선거운동 정보를 게시하거나 리트윗(RT)하는 것이 허용된다고 유권해석하고 있다. 당일에는 투표 인증샷을 게시할 수 있다. 다만 투표지 사진을 공개할 수 없고 허위사실을 유포하거나 비방하는 행위도 금지된다.
벌써부터 SNS에서는 후보들에 대한 호불호가 엇갈리고 있다. 각 당에도 비상이 걸렸다. 후보별 트위터 여론동향을 집계하는 SNS민심닷컴에 따르면 28일 현재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일간 버즈량(하루에 언급된 횟수)에서 10만여개를 기록, 7만여개에 그친 민주당 문재인 후보를 앞질렀다. 하지만 내용에서는 박 후보가 ‘거부’ ‘실패’ ‘악랄’ 등 부정적인 내용이 많은 반면 문 후보는 ‘돕다’ ‘공정’ ‘웃다’ 등 긍정적인 내용이 다수를 차지했다.
무소속 안철수 전 후보가 SNS를 통해 문 후보 지지 의사를 밝히거나 투표 참여를 독려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안 전 후보가 문 후보를 적극 나서서 돕기는 힘들 것”이라며 “다만 유세 차량에서 연설하거나 SNS상에서 메시지를 전달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재중 유성열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