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20] SNS 선거 전략은… 朴캠프, 全연령층 카톡 공략 vs 文캠프, 2030 투표율 높이기

입력 2012-11-28 21:47


여야 대선 후보 진영은 전통적인 거리유세뿐 아니라 온라인 선거전에도 각별히 공을 들이고 있다. 스마트폰 이용이 대중화된 이후 열리는 첫 대선인 만큼 언제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큰 파괴력을 발휘할 것이란 전망 때문이다.

새누리당은 유독 SNS 활동에 약한 모습을 보여 왔다. 지지기반인 50대 이상 중·장년층의 SNS 사용자 비율은 젊은층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 당원·당직자들에게 SNS 활용법을 교육시켜왔다곤 하지만 이번에도 자발적인 야권 ‘SNS 전사’들의 공세에 밀리는 형국이다. 당 SNS 본부는 박근혜 후보 공식 홈페이지에 페이스북 계정으로 의견을 올릴 수 있는 ‘TV토론에서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에게 이 질문 꼭 해 주세요’ 코너를 마련했다. 그러나 이 코너에 반(反)박근혜 성향 유권자들이 몰려오면서 취지가 무색해졌다.

이에 새누리당은 기성 SNS는 ‘야당의 놀이터’라고 판단하고 전 연령대가 폭넓게 애용하는 카카오톡을 집중 공략중이다. 박 후보가 지난 1일 개설한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계정에는 28일 현재 36만7000여명의 ‘친구’가 등록돼 있다. 한 선대위 관계자는 “조동원 홍보기획본부장이 카톡을 통해 보내온 ‘개념 인터뷰’라는 짤막한 동영상을 친구들에게 보내고 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문 후보의 카톡 친구는 박 후보보다 적은 20만3000여명이지만 후보 본인은 물론 부인 김정숙씨도 워낙 ‘트위터 애용자’라 주력 무대가 트위터라는 평가다. 조한기 SNS 지원단장은 “네거티브를 하지 않고 문 후보의 삶과 정책을 알린다는 것, 네티즌의 자발적인 창의성을 적극 활용하다는 게 대원칙”이라며 “트위터와 페이스북은 콘텐츠 질과 안정성 측면에서 우리가 박 후보 측을 앞선다”고 말했다.

문 후보 측 시민캠프는 ‘2030 투표율 70%’ 달성을 목표로 젊은층의 투표율을 올리기 위한 SNS 캠페인을 벌일 계획이다. 네티즌들이 온·오프라인을 연계해 자유롭고 활발하게 소통하도록 다양한 통로도 제공하고 있다. 가령 투표시간 연장과 관련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담긴 인증샷이 트위터를 통해 널리 퍼지거나 유세현장에서 느낀 내용들이 SNS를 통해 수시로 공유된다. 연예인 만화가 등 전문가 그룹과 일반인이 재능기부 형태로 제작한 동영상이나 뮤직비디오, 애니메이션 등은 문 후보의 이미지를 높이고 대선 공약을 쉽게 알리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캠프 측은 설명했다.

유성열 엄기영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