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정부 5년 주택시장 살펴보니… 아파트 전셋값 가파른 상승세, 매매가 찔끔 올라
입력 2012-11-27 18:58
‘전세 가격 급등, 수도권 집값 하락, 미분양 급증.’
이명박 대통령 임기 내 주택·분양 시장의 특징은 이처럼 요약된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집값 거품이 빠진 것은 세계적인 현상이었다는 게 중론이다. 하지만 전셋값 급등으로 셋집살이 하는 이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미분양 증가로 건설사들이 잇따라 도산 위기에 처한 것은 ‘경제대통령’을 표방한 이 대통령의 과실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는 27일 ‘2008∼2012 MB정부 결산’ 자료를 통해 현 정부가 출범한 2008년 2월부터 현재까지 아파트 전셋값이 전국 평균 37.17% 올랐다고 밝혔다. 정부청사 이전에 따른 기대감이 반영된 세종시 등 기타 시·도가 51.28% 급등해 가장 상승폭이 컸다. 5대 광역시(인천 제외)도 46.32%나 올랐다. 수도권에서는 서울이 32.16%, 경기도가 33.01%, 신도시가 26.61%, 인천이 24.94% 각각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현 정부 들어 전셋값이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린 것은 집값 하락 우려로 매수 기피 현상이 확산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현 정부의 보금자리주택을 전세 가격 급등 원인으로 지목하기도 한다. ‘반값 아파트’를 표방한 보금자리주택 공급 등으로 전·월세 대기수요가 증가했다는 얘기다.
반면 아파트 매매가격은 현 정부 들어 전국적으로 3.51% 오르는 데 그쳤다. 특히 6억원 이상의 고가 아파트와 재건축 단지가 밀집한 서울 강남구(-16.44%), 강동구(-13.23%), 송파구(-12.89%) 등의 내림폭이 컸다. 경기도에서도 과천(-20.49%), 용인(-18.19%), 성남(-17.07%), 김포(-16.16%) 등이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다. 그러나 지방 5대 광역시는 31.42%, 기타 시·도는 33.99% 각각 올라 수도권과 다른 분위기를 보였다.
미분양 물량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을 집계한 결과 총 7만2739가구로 전월보다 1187가구(1.7%) 늘었다. 연말까지 미분양 주택을 구입하면 양도소득세를 감면해주는 ‘9·10 대책’ 시행으로 서울은 전월 대비 54가구, 부산 132가구, 대구는 315가구가 각각 감소했지만 화성 동탄2신도시 등 최근 신규 아파트 분양이 이뤄진 경기도, 경남·북 등을 중심으로 미분양이 증가했다.
문제는 미분양 문제가 새 정권에서도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경기도, 경남·북에선 11월 분양시기를 미뤄왔던 1000가구 이상 대규모 단지들이 공급에 나섰고, 이들 중 상당수가 미분양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는 “11월 전국 분양실적(아파트·주상복합)을 조사한 결과 50개 사업장에서 2만8162가구가 공급돼 2006년 이후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연말이 시한인 미분양 대책을 내년까지 연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건설업계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