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21] 文캠프 ‘미래 VS 과거’ 그대로 쭉∼

입력 2012-11-27 22:09

현 상황 진단·3주간 전략 어떻게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 측은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27일 ‘미래와 과거’의 대결이라는 선거 구도를 내세웠다. 무소속 안철수 전 후보가 자극한 국민들의 새 정치 욕구를 담아내고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낡은 정치의 틀에 가두겠다는 전략이다.

이목희 기획본부장은 서울 영등포 선거캠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번 대선은 문 후보와 함께 미래로 나아갈 것인가, 박 후보와 함께 과거에 머물 것인가를 결정하는 선거”라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안 후보와 약속한 새정치 공동선언을 철저히 실천하겠다”며 “새 정치와 낡은 정치의 대결”이라고 주장했다. 박 후보가 정수장학회 등 과거사 문제에 발목이 잡혀 있고 이명박 대통령의 실정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을 겨냥한 공세다.

문 후보 캠프는 박 후보가 1997년 당내 경선에 불복해 탈당했던 이인제 의원, ‘차떼기 당’의 원조격인 이회창 전 자유선진당 대표 등과 손잡은 것도 ‘낡은 정치’의 사례로 집중 부각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 본부장은 “보수적으로 잡아 투표율이 65% 이상이면 (문 후보가) 이길 것”이라며 “돌발변수가 없다면 2002년 대선의 58만표 차 이상으로 승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투표율이 68∼70%는 돼야 안심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적지 않다. 때문에 유세 현장에서 투표 참여 캠페인도 동시에 벌인다는 방침이다.

시민캠프는 ‘2030 투표율 70% 달성’을 목표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캠페인과 플래시몹, 인증샷 찍기, 인형 퍼레이드, 현장 모의투표 등 이벤트를 적극 개최할 예정이다.

문 후보 측은 안 전 후보 지지층 일부가 떨어져나간 것은 사실이지만 이들 중 70% 이상은 정권교체를 희망하고 있다고 보고 이들 표심을 잡기 위한 방안을 고심 중이다. 그러나 대선이 불과 20여일 앞이라는 점, 신선한 정치개혁 이슈를 던지기 쉽지 않다는 점에서 안 전 후보 지지층을 끌어안을 수 있을지 미지수다.

박 후보에 대한 구체적 공격 포인트는 몇 가지로 압축된다. 우선 ‘문재인=서민, 박근혜=귀족’이라는 각을 세우고 있다. 세종시 지원 특별법 처리 무산과 투표시간 연장 논의 중단에 대한 책임, 여당의 경제민주화 및 반값등록금 실천 의지 논란도 적극 제기할 방침이다. 김현 대변인은 “세종시 완성은 (박 후보가) 확실하게 책임지겠다는 약속과 달리 새누리당 의원들의 반대로 (세종시 특별법의) 국회 행정안전위 법안심사소위 처리가 무산됐다”며 “박 후보는 말로만 약속을 지킨다”고 지적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