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해외 투자유치사무소 실효성 논란
입력 2012-11-26 19:09
전남도가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개설한 해외 투자유치사무소의 성적표가 극히 초라해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다.
전남도는 26일 “2003년 4∼12월 중국 상하이와 미국 뉴욕, 일본 오사카 등 3곳에 동시다발적으로 투자유치사무소를 개설한데 이어 지난 7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4번째 투자유치사무소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는 이를 위해 중국 상하이 사무소에 3명, 나머지 미국·일본·독일 등 3곳엔 2명씩의 직원들을 파견 또는 현지 채용했다.
하지만 이들 4곳의 투자유치 실적은 바닥 수준이다. 4곳의 해외사무소는 올해의 경우 1억8000만 달러(약 1953억원)의 유치목표를 세웠으나 10월말 현재 투자유치가 성사된 사례는 단 한 건도 없다. 2009∼2011년 투자유치 성과도 가뭄에 콩 나듯 하다.
이에 따라 해외기업의 미미한 투자유치를 위해 굳이 외국 곳곳에 현지사무소를 운영할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도는 지난해 11월 독일 투자유치사무소에서 고기능 젖병 생산업체인 ‘바스프’와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이 기간 9개 업체와 2억4700만 달러의 투자에 관한 협상을 벌였다고 밝혔다. 하지만 실제 해당기간에 투자유치를 이끌어낸 실적은 집계조차 하지 않을 만큼 미미한 수준이다. 그런데도 도는 지난해 인건비와 사무소운영비 등으로 6억6350만원의 예산을 배정한데 이어 올해는 40% 이상 증액된 9억4726만원을 책정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반복하고 있다.
도는 해외기업 투자유치는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4개국에 개설한 투자유치사무소를 내년 이후에도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해외기업들과 꾸준히 접촉하고 있으나 장기 불황과 설비투자 감소 등으로 투자유치사무소의 활동에 제약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전남도는 민선 5기 이후 해외기업 유치를 핵심공약으로 제시했다.
도 투자정책국 유치총괄계 박석현 담당은 “해외사무소가 통상지원과 관광객 유치, 우호교류 등의 다양한 업무를 취급하다 보니 고유의 투자유치 업무에 소홀한 측면이 있다”며 “실적이 극도로 부진한 곳은 현지 소장을 교체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안=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