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22] 중도층 잡기 밤낮 구애… 朴 ‘安새정치’로 끌어안기
입력 2012-11-26 22:17
무소속 안철수 전 대통령 후보의 사퇴로 무주공산이 된 중도층이 12월 대선의 최대 승부처로 떠올랐다. 보수와 진보의 박빙 대결 구도에서 중립지대 유권자들이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대선 승패가 갈릴 수 있다. 여야는 캐스팅 보트를 쥐고 있는 안 전 후보 지지 성향 중도층의 표심을 잡기 위해 사활을 건 전쟁에 돌입했다.
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 후보가 무소속 안철수 전 후보 지지층에서 이탈한 표심을 공략하기 위해 ‘중도 클릭’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안철수 현상’의 본질은 정치쇄신이었다고 보고 정치쇄신을 주도함으로써 중도층 공략에서 우위를 점하겠다는 계산이다.
안대희 정치쇄신특별위원장은 26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안 전 후보의 쇄신안도 적극적으로 보완, (박 후보의 쇄신안에) 반영해 국민의 ‘새 정치’에 대한 열망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안 위원장은 “안 전 후보의 지지자들이 열렬히 원했던 정치쇄신의 방향은 권력형 부패 및 친인척 비리 척결, 여야의 정쟁 금지, 공권력 오남용 방지 등에 있다”면서 “박 후보도 이와 관련한 쇄신책을 이미 발표했고 구체적 실행 방안 역시 이미 마련돼 있다”고 강조했다.
안 위원장이 안 전 후보가 추구했던 정치쇄신에 대한 열망을 이어받겠다는 뜻을 공개적으로 내비친 배경에는 그의 사퇴로 생긴 공백을 파고들어 박 후보에 대한 지지층으로 바꿔놓겠다는 포석이 깔려있다. 안형환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안 후보 지지자는 쇄신과 ‘새 정치’를 원한다”며 “박 후보도 이 점을 잘 알고 있기에 쇄신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새 정치’를 열망하는 표심을 이어받는 방식이 안 전 후보가 발표한 쇄신안을 직접 수용하는 쪽이 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민 정치쇄신특위 간사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안 전 후보 안 중에는 현실성이 없는 안이 많다”며 “그 안을 똑같이 추진하는 것은 똑같은 사람이 되는 것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안 위원장도 “박 후보와 안 전 후보의 쇄신안 중 70∼80%가 같은 방향”이라며 “국회의원 세비 심사위원회 등 몇몇 안과 국정감사 강화 등은 충분히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위는 공통분모를 찾아 입법을 추진하되 박 후보의 실천의지를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당 일각에선 안 전 후보를 부각시키며 문 후보를 공격하는 방식에 대한 불만도 제기됐다. 한 재선 의원은 “자꾸 안 전 후보를 자극하면 문 후보 지지를 앞당길 명분만 준다”며 “‘새 정치’를 정치공세처럼 활용하는 방식 자체가 안철수 현상과 모순된다”고 꼬집었다.
한편 의원직 사퇴 의사를 밝힌 박 후보는 긴급조치 피해자 명예회복 및 보상에 관한 법을 마지막으로 공동 발의하며 대통합 행보를 이어갔다. 법안은 국회, 대통령, 대법원장이 추천하는 인사 3인으로 위원회를 구성해 긴급조치 피해자에 대한 보상 지급 등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하도록 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