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제는 대통령 선거전을 정상화할 때다
입력 2012-11-25 20:00
깨끗한 정책대결 펼치고 후유증 큰 네거티브 자제해야
안철수 후보가 사퇴한 데 이어 주요 정당 대선 주자들이 어제 후보등록을 마쳤다. 이제 선거전을 정상화해야 할 때다. 각 후보 진영은 그간 야권 후보 단일화의 장막에 가려져 있던 정책 경쟁을 본격화함으로써 유권자들이 후보들의 미래 비전과 국가 정책을 보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선거운동이 상대를 마구잡이로 매도하는 네거티브의 장으로 변질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27일부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면 선거홍보물이 홍수를 이루게 된다. 동네마다 각 정당의 선거홍보 현수막이 내걸리고, 신문·방송과 인터넷·SNS, 거리유세를 통해 후보들이 정견을 공표하게 된다. 후보자 방송토론도 열린다.
선거전의 중심은 정책과 비전 대결이 돼야 한다. 정책대결의 최우선 주제는 경제 문제다. 그동안 다양한 경제 및 복지 공약들이 발표됐지만 우리 경제의 장기 저성장 전망이 본격화되기 전 나온 것들이다. 3%대를 밑도는 저성장을 장기적으로 겪어야 한다는 전망이 국내외로부터 쏟아지고 있는 만큼 각 후보들은 그 부작용에 대한 대책을 내놓고, 탈 저성장 전략을 제시해야 한다. 나라살림이 상당 기간 어려워질 것에 대비해 복지 공약들도 재점검해야 한다. 공약 실천에 필요한 재원 마련 방안을 구체화해 발표하고, 사정이 여의치 않으면 불요불급한 공약을 솎아내고 긴요한 공약은 우선순위를 정해 이행할 태세를 갖춰야 한다.
외교안보 분야 공약도 보다 정교하게 가다듬어야 한다. 북한 문제는 물론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집권 2기가 시작되는 미국과의 공조에 관한 전략전술을 마련해야 한다. 우경화 움직임을 노골화하고 있는 일본 정계, 세계 2위 국가에 걸맞은 위상을 추구하고 있는 새로운 중국 지도부의 대외 전략에 대응할 구상을 제시하는 것도 시급하다. 모두 첫 단추를 잘못 꿰면 차기 대통령 당선자의 집권 5년은 물론 국가 전체가 표류할 수 있는 사안들이다.
그러나 각 후보 진영은 아직 상대 헐뜯기에 급급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안 후보의 중도사퇴를 민주당의 책임이라고 주장하고 있고, 민주당은 여당 후보에 ‘과거’라는 굴레를 씌우는 데 골몰하고 있다. 양쪽 모두 안 후보 지지층의 표를 흡수하기 위한 전략이지만 도가 지나치면 안 후보가 주창했던 ‘새 정치’와 멀어지게 된다. 안 후보 사퇴 이후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접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부동층도 크게 늘었다. 앞으로 있을 선거전이 혼탁 양상으로 치달을 가능성을 높이고 있는 셈이다.
과도한 네거티브는 국민을 분열시킬 뿐이다. 각 후보들은 누가 당선되든 상대가 국정 파트너가 될 것임을 명심해 절제된 공방과 경쟁을 펴고 그 결과에 승복해야 한다. 그것이 성숙한 정치문화이며, 그래야 국민들도 정치를 존중하게 된다. 선거 후유증으로 나라가 두 쪽으로 갈린 채 갓 취임한 대통령을 향해 거침없이 하야를 외치는 광경이 두 번 다시 있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