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D-26] 安측, 적합도→ 지지도로 바꿔 최후통첩… 文측 “만나자”

입력 2012-11-23 02:56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통령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의 단일화 여론조사 방식이 ‘지지도 또는 적합도 조사(50%)+가상 양자대결 조사(50%)’로 좁혀지고 있다. 문·안 후보에게 각각 유리한 방법을 절반씩 반영하자는 것이다. 양측은 23일 오전 실무팀이 만나 세부 내용을 조율할 예정이다. 그러나 여전히 쟁점이 남아 있어 완전 타결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

문·안 후보가 22일 오전 긴급 회동에서도 접점을 찾지 못하자 민주당은 이날 저녁 재야인사들의 중재안인 ‘적합도 조사(50%)+가상 양자대결 조사(50%)’를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안 후보 측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은 밤 11시15분 이 안의 ‘적합도’를 ‘지지도’로 바꿔 역제안했다. 지지도 조사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지지자들은 제외해야 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명칭도 ‘가상 양자대결 조사’ 대신의 ‘실제 대결 조사’로 변형했다.

박 본부장은 기자회견에서 “역선택을 방지하기 위해 박 후보 지지층은 제외돼야 한다. 1개의 여론조사기관을 지정해 가능한 빠른 시간 안에 조사에 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마지막 제안”이라며 ‘최후통첩’임을 분명히 했다.

그동안 안 후보는 박 후보와 양자대결 구도의 여론조사에서 대부분 앞서 왔다. 반면 문 후보는 최근 상승세임에도 지는 결과가 많았다. 이 때문에 안 후보 측 협상팀은 양자대결 조사를 줄곧 주장해 왔다. 반면 문 후보는 야권 단일후보로 누가 적합한지 묻는 ‘적합도’ 조사에서 안 후보를 앞서고 있다. 특히 박 후보 지지자까지 포함 조사에서 안 후보와의 차이를 더 벌려왔다. 최근엔 ‘지지도’를 물어도 근소한 차이로 따라붙었다. 이에 최근 들어 문 후보 측 협상팀은 여론조사만으로도 이길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여 왔다.

하지만 문 후보 측은 패할 가능성이 큰 양자대결을 수용하면서 ‘적합도 조사’ 대신 조금 덜 유리한 ‘지지도 조사’를 해야하는 데 부담을 느끼고 있다. 안 후보 측 제안 직후 문 후보 캠프 핵심 관계자는 “적합도가 지지도로 바뀌었지만 지금 상황에선 받을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했다. 하지만 곧바로 우상호 공보단장은 “진지하게 숙고하겠다”고 유보 입장을 밝혔고, 또 잠시 후 박광온 대변인은 “회의를 해보니 선뜻 받아들이기는 어려운 제안이란 기류가 강했다. 특히 실무자들 사이에서 매우 그렇다”고 전했다.

‘50대 50’ 절충안은 문 후보 측이 먼저 제기한 것이다. 황석영씨 등 문화예술종교인 모임이 이날 오후 제안한 중재안을 받아들이는 형식이었다. 문 후보 캠프 우상호 공보단장은 오후 8시 브리핑에서 “가상대결(실제대결) 방식이 논리적으로 여러 문제가 있지만 정권교체를 바라는 국민들의 여망 때문에 수용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안 후보 측이 이 안을 조금 더 유리한 쪽으로 변형해 역제안을 해오자 심야에 긴급회의를 하며 대응 방향을 논의해야 했다. 문 후보가 안 후보 측 제안을 보고받고 화를 냈다는 얘기도 들린다.

남은 쟁점도 많다. 지지도 조사에서만 박 후보 지지층을 제외시키는 일, 조사 방식의 편차와 등가성 문제가 있다. 두 항목에서 각각 승자가 다를 경우, 또 조사 결과가 오차범위 내에 있을 경우 어떻게 할지가 향후 협상의 난제다. 안 후보 측 박 본부장은 “여론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이메일이나 문자를 통해 조직적으로 착신 전화를 유도해 민심을 왜곡하는 선거 부정은 용납될 수 없다”고 요구하기도 했다.

김아진 백민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