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건강 증진위해 스포츠 참여율 70%↑
입력 2012-11-22 22:29
서울시가 시민들의 체력 강화를 위해 생활체육을 활성화하는 중장기 종합계획을 추진한다. 각종 방법을 동원해 시민들의 체육 활동을 유도하는 한편 생활체육 관련 일자리 1000개를 창출키로 했다.
시는 이 같은 내용의 ‘2020 체육정책 마스터플랜’을 22일 발표하고 현재 53%에 불과한 서울시민의 주 1회 스포츠 참여율을 2020년까지 70%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서울연구원이 지난해 9∼10월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주 1회 30분 이상 스포츠 참여율은 53%로 스웨덴이나 노르웨이의 90%, 일본의 70%에 비해 크게 낮다.
시는 가장 좋은 운동이 걷기라는 판단에 따라 서울성곽 트레킹 행사와 서울시민 등산학교를 매달 1차례씩 열기로 했다. 운동 후 몸무게와 체지방 등을 측정해 체력증진률이 높은 시민들을 선정해 프로경기 관람권이나 체육시설 이용권을 증정한다.
시는 또 의사협회와 업무협약을 맺고 내년부터 지역 1차의료기관에서 약품 처방과 함께 체육활동 처방을 병행토록 할 계획이다. 의사가 운동이 꼭 필요하다고 하면 운동하는 사람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2020년까지 생활체육 지도자와 체육보조교사 등 체육 관련 일자리 1000개를 창출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우선 교육과학기술부와 협력해 체육 보조교사·강사 449명을 채용, 2014년까지 시내 592개 모든 초등학교에 배치한다.
또 저소득층의 체력 증진을 위해 내년부터 시내 사회복지시설 416곳에 스포츠 교습과 치료를 담당할 생활체육지도자 10명을 배치한다. 대학생 등 스포츠 자원봉사자 500명도 추가로 투입해 저소득층에게 스트레칭, 요가, 춤 등을 가르칠 예정이다. 장애인 전문 생활체육지도사도 현재 39명에서 2020년까지 80명으로 확충한다.
이외에도 현재 1.22㎡로 전국 평균(1.8㎡)에도 못 미치는 1인당 공공체육시설 면적을 2020년까지 2.88㎡으로 넓히고 올림픽주경기장, 잠실·목동 야구장 등 낡은 스포츠시설을 개선키로 했다.
시는 또 체력을 전년보다 3% 이상 향상시킨 시민의 건강보험료를 3% 인하하고, 가구당 연 30만원까지 스포츠 관람 비용을 소득세에서 공제하는 제도 신설도 정부에 건의한 상태다.
한문철 시 문화관광디자인본부장은 “스포츠 활동은 누구나 누려야 할 시민 기본권이다. 모든 시민이 생활체육을 통해 스스로 일상적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경 기자 vic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