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미얀마 핵 커넥션’ 밝혀지나… 미얀마, 핵시설·핵물질 신고하는 국제협정에 곧 서명 예정

입력 2012-11-22 18:48

미얀마 정부가 조만간 자국 내 모든 핵시설과 핵물질을 신고하는 국제협정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AP통신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군사정권 집권 기간 북한과의 핵 협력 의혹을 받아왔던 미얀마가 이를 계기로 ‘북한·미얀마 핵 커넥션’을 완전히 공개할지 주목된다.

AP통신은 어떤 핵 의심시설 또는 핵물질을 신고할지는 전적으로 미얀마 정부에 달려 있지만, 이번 조치는 미얀마가 북한과 산업적 또는 군사적 이용이 가능한 장비를 거래했다는 서방 국가들의 의혹을 불식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핵군축 싱크탱크인 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의 데이비드 올브라이트 소장은 “미얀마 정부의 조치는 국제사회에 핵 문제에 대한 투명성을 높이려는 중대한 결정”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미얀마 정부는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 방문을 앞둔 18일 핵시설 의심지역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을 수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은 2006년 10월 핵실험을 강행한 북한이 미얀마에 핵 기술을 이전하려 한다는 정보를 포착했다. 미 상원 외교위원회 공화당 간사 리처드 루거 의원도 미얀마가 5년 전부터 북한 도움을 받아 핵무기를 개발하려 한다는 정보를 입수했다고 지난해 밝혔다. 유엔 역시 2010년 보고서를 통해 북한이 금지된 핵물질과 탄도미사일 부품을 미얀마와 이란, 시리아 등에 공급한다고 지적했었다.

AP는 테인 세인 미얀마 대통령이 서명한 핵시설·물질 신고 협정서를 의회에 보내도 군부 영향력이 아직도 막강한 의회가 이를 승인할지는 여전히 의문이라고 전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