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건설사 내실 다지려면 구조조정 서둘러야

입력 2012-11-22 19:33

국내 건설사 10곳 중 1곳이 부도 위기에 내몰렸다. 자본잠식 상태이거나 부채비율이 500% 이상, 영업적자 중이거나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하는 이자보상배율 100% 미만, 총부채 중 단기차입 비중이 60% 이상 등 세 가지 조건에 모두 해당되는 곳이 그렇다는 말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1일 밝힌 바에 따르면 국내 건설기업 1565곳에 대해 스트레스테스트(재무건전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지난해 기준으로 202곳, 12.9%가 부실위험 상태로 드러났다. 빚은 많고 수입마저 줄어들고 있어 경기침체가 이어질 경우 줄도산이 우려된다.

부실위험 기업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285곳으로 피크에 달했으나 2010년 192곳으로 줄어든 뒤 다시 늘고 있다. KDI에 따르면 부실위험 기업에 대한 일반적인 적용기준인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00% 미만을 적용하면 해당 기업은 400곳으로 크게 늘어난다고 한다.

부실위험 기업 202곳 중 시행사와 시공사는 각각 144곳, 58곳으로 부실위험 기업의 총부채 13조원 중 시행사 몫은 9조4000억원이다. 다만 시공사들도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및 집단대출에 대한 지급보증을 한 상태라서 시행사, 시공사 가릴 것 없이 연쇄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부동산 경기 침체에다 4대강 사업 등 정부 토목사업으로 반짝했던 건설경기가 다시 위축된 탓이다. 건설업 및 유관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940여만명으로 부실이 현실화되면 일자리 감소와 내수 악화는 피할 수 없다. 그렇다고 해서 이미 생존능력을 상실한 기업을 억지로 지원해서 붙잡아 놓을 수도 없고 그렇게 해서도 안 된다.

건설업이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일시적 위기에 직면한 게 아니라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건설업 자체의 비중이 줄어들고 있다. 2000년 이후 국내 건설업은 매출액 영업이익률, 이자보상배율 등 주요 지표가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어 변화 대응 차원에서도 구조조정을 더 이상 늦춰서는 안 된다. 부실이 더 커지기 전에 적절한 구조조정 방안을 모색해야겠다.